정치 외교/통일

무르익는 남북 ‘화상 정상회담’… 김정은 결단만 남았다

김나경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7.28 18:14

수정 2021.07.28 21:12

통신선 복원에 시스템 갖춰져
외신 보도에 靑은 일단 선그어
北, 최근 화상회의 연이어 진행
문 대통령 임기내 성사 가능성도
남북이 1년여 만에 통신연락선을 전격 복원하면서 정상간 만남에도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화상 회담' 가능성이 고개를 들고 있다. 기술적으로 우리 정부는 이미 화상 회담 시스템을 구축, 북한이 응할 경우 비대면 화상 회담은 언제든 성사될 수 있는 상황이다.

유력 외신에서는 28일 복수의 정부 고위관계자를 인용해 남북간 정상회담을 논의 중이라는 보도까지 나왔다. 청와대는 "사실이 아니다. 논의한 바 없다"고 선을 그었지만 회담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통일부에 따르면 정부는 코로나19 상황에서도 남북간 '안전한 회담'이 가능하도록 시스템 도입을 완료한 상태다.
통일부는 지난 3월 2일부터 4월 23일까지 약 4억원을 투입해 서울 종로 남북회담본부에 영상회의실을 구축, 남북간 비대면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었다.

지난 4월 회담본부가 공개한 '남북 영상회담 프로토콜'에 따르면 회담이 총 3단계로 이뤄진다. 우선 남북간 영상회담 장비는 각자 구축하되 코덱은 상호 호환성 있는 장비를 사용한다. 이후 회담 개최 4일에서 2일 전까지 양측이 시스템 점검을 마치면 회담 당일 2시간 전에 시스템을 개통한다. 이어 당일에는 대면 회담과 동일하게 회담을 진행할 수 있다.

우리 측은 이미 시스템 구축을 완료한 것으로 북한과의 영상 호환성 등의 점검만 남아있는 상태다.

북한도 내부적으로는 영상회의 시스템을 구축해둔 상태로 기술적 문제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북한은 지난 19일 조선사회주의여성동맹(여맹) 확대회의를 비롯해 올해 들어 최소 12차례 화상회의를 열었다. 다자 국제회의에도 화상으로 참여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은 최근 유엔 고위급 정치포럼(HLPF)에도 화상으로 참여했다"며 "지난해부터 여러 회의를 화상으로 개최하는 동향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남북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이산가족 '화상 상봉'을 통해 비대면 시스템을 활용해본 경험이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화상 상봉과 비대면 시스템이 다르지 않다"며 "이미 남북이 해본 경험도 있고 기술적으로 양측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한 실무적 협의를 거치면 할 수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도 코로나19 시국과 북한 정세 등을 고려할 때 비대면 회담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전망한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문 대통령이 시간과 장소, 의제에 구애 없이 언제든지 만날 수 있다고 제안했기 때문에 결단은 김정은 위원장의 몫"이라며 "북한이 비상방역체계를 유지하는 것을 고려하면 대면 회담보다는 화상 정상회담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dearname@fnnews.com 김나경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