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제로웨이스트 시대] 코로나19 다음은 '쓰레기 펜데믹' 공포

홍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8.26 18:06

수정 2021.08.26 18:06

코로나19 장기화로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자원순환센터에 페트병 등 플라스틱 재활용 폐기물이 가득 쌓여 있다.뉴시스
코로나19 장기화로 일회용품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경기도 수원시자원순환센터에 페트병 등 플라스틱 재활용 폐기물이 가득 쌓여 있다.뉴시스


[파이낸셜뉴스]코로나19를 계기로 폭증한 비대면 소비가 '쓰레기 팬데믹'이라는 후폭풍을 낳고 있다.

코로나19로 배달과 테이크아웃, 온라인 쇼핑 등 언택트 소비가 새로운 일상이 되면서 플라스틱 같은 일회용품, 포장재 사용이 폭증했다.
육지에서 발생한 이 폐기물들은 해양으로까지 번진다.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수산물로 인해 밥상도 위협받고 있다. 쓰레기는 전국적으로 급증하고, 폐기물 처리 시설 또한 포화 상태지만 혐오시설이라는 인식 때문에 시설 확충은 난항을 겪고 있다. 쓰레기 팬데믹에는 백신도 없다.

26일 환경부에 따르면 코로나19가 휩쓴 지난해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3만7320톤으로 2019년(3만5996톤)보다 1324톤(3.7%) 증가했다.

이중 가장 많이 늘어난 폐기물은 종이다. 2019년 747톤에서 2020년 932톤으로 24.8%나 폭증했다. 플라스틱이 그 다음이다. 2019년 776톤에서 지난해엔 923톤으로 18.9% 증가했다. 발포수지류, 비닐류도 각각 2019년 대비 14%, 9%씩 늘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시장이 커진 데 따른 후폭풍으로 풀이된다.

올해는 4차 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택배나 배달, 테이크 아웃 등이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생활쓰레기도 덩달아 늘어날 전망이다.

해양쓰레기 문제도 시급하다. 지난해 해양쓰레기 수거량은 13.8톤으로 2019년(10.9톤)보다 약 3톤 가량 늘었다. 해양수산부의 2018~2020년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자료를 보면 이중 플라스틱 재질이 평균 8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폐기물 증가로 국토가 전방위로 몸살을 앓고 있으나 쓰레기가 갈 곳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수도권매립지를 둘러싼 지자체들 및 주민 간의 갈등이 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다.
서울과 경기, 인천 지자체들이 대체매립지를 찾고 있지만, 혐오시설이라는 인식 때문에 논의는 계속 공전만 거듭하고 있다.

폐기물을 원료로 삼는 '순환경제'가 해답으로 대두됐지만, 이 또한 쉬운 문제가 아니다.
환경부는 폐기물을 발생지에서 책임지게 하는 원칙을 법에 명시하고, 생활폐기물 직매립 또한 단계적으로 금지하기로 했지만, 인식의 전환이 이뤄지지 않는다면 갈등은 더 깊어질 수밖에 없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