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션·뷰티 뷰티

치유의 음식, 마크로비오틱의 세계

김현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8.17 09:29

수정 2021.08.17 09:29

면역력 강화해 다양한 질병 예방하는 마크로비오틱 요리
Unsplash
Unsplash

[파이낸셜뉴스] ‘저탄수화물’ ‘글루텐프리’ ‘비건’ ‘키토제닉’ 등 새로운 식문화가 끊임없이 생겨나는 가운데 치유의 밥상이라 불리우는 ‘마크로비오틱(Macrobiotic)’도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자연과 공생하며 계절의 섭리에 순응하고, 음양의 조화를 추구해 몸을 중용 상태로 유지하는 마크로비오틱. 면역력을 자연스럽게 끌어올려 당뇨와 고혈압 등 만성질환과 아토피, 천식, 탈모와 같은 면역력 저하로 생길 수 있는 질환을 예방하고 완화하는데도 효능을 보입니다.

‘마크로비오틱’은 음양 원리를 토대로 한 식생활법을 말합니다. 이름은 ‘크다, 위대하다’라는 뜻의 마크로(Macro), ‘생명, 생물’이라는 뜻의 바이오(Bio), ‘방법, 기술’을 뜻하는 틱(Tic)을 조합해 만들어졌습니다. 태어난 땅과 몸은 하나이며 자라난 땅에서 수확한 것이 체질에 맞는다는 ‘신토불이(身土不二)’, 뿌리부터 잎, 열매와 껍질까지 모두 취한다는 ‘일물전체(一物全體)’를 근간으로 합니다.

신토불이를 실천하는 것은 제철에 난 지역 농산물을 섭취하는 것에서 비롯됩니다.
겨울을 지내는 사람이 다른 지역의 여름에 난 과일을 섭취하면 몸의 균형이 깨지기 때문입니다. 비단 이런 이유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 수확한 식재료는 이동하며 신선도가 떨어지거나 방부제 등 화학물질을 첨가할 가능성이 있어 되도록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물전체는 식물은 하나의 생명으로써 저마다 몸 안에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식물을 통째로 섭취해야 영양 또한 치우침 없이 섭취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껍질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섭취하는 현미는 일물전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식재료죠. 현미, 통곡물은 마크로비오틱 식단의 주를 이룹니다. 대파 뿌리, 무청도 버리지 않고 사용합니다.

식재료를 정할 때는 현미나 콩 등 통곡물과 된장, 절임 등 발효식품을 기본으로 하고 고기보다는 흰 살 생선 섭취를 권합니다. 농경 사회를 바탕으로 발전해 온 인류가 고기와 유제품 등을 섭취하며 성인병에 노출되기 시작했다는 이유에서죠. 하지만 극단적으로 육류를 제한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고기를 섭취할 경우에는 음양의 조화를 위해 중용을 지킬 수 있는 다른 음식을 함께 섭취할 것을 권합니다.

어렵게 느껴지지만 사실 마크로비오틱은 이미 익숙한 ‘집 밥’ ‘엄마 밥상’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지역에서 난 제철 식재료를 골고루 활용하고 된장, 청국장, 고추장 등 발효 식품을 적절히 활용해 정성껏 차린 한 끼. 바로 마크로비오틱입니다.

moasis@fnnews.com 김현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