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근영 중앙보훈병원장 취임 100일 인터뷰
"공공의료기관 역할 더 적극적으로 하겠다"
보훈 대상자 암 등 중증질환 진료 강화하고
지역 주민 등 일반인 대상 진료 확대 필요
정년 연장도 필요…재계약시 임금 보전 요청
![[서울=뉴시스]유근영 중앙보훈병원장. (사진= 중앙보훈병원 제공) 2021.08.24](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1/08/24/202108241154443653_l.jpg)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세계적인 암 역학·예방의학 권위자가 국립암센터 원장부터 국군수도병원장, 중앙보훈병원장까지 3번 연속 공공병원 수장에 올랐다. '공공병원장 3관왕'은 국내 기네스북감이다. 하지만 공익적인 역할을 하면서 수익도 내야하는 공공병원 원장의 임무를 생각하면 결코 쉽지 않은 길이다.
24일로 취임 100일을 맞은 유근영(66) 병원장은 지난 23일 병원 별관 6층에서 뉴시스와 인터뷰를 갖고 부족한 의료시설과 인력 등 공공병원의 한계 속에서도 중앙보훈병원을 국가 최고의 공공의료기관 반열에 올려놓겠다는 각오를 드러냈다.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산하 중앙보훈병원은 국가 유공자와 가족의 진료와 재활서비스를 위해 설립된 1400여 병상 규모의 종합병원이다.
유 병원장은 구상을 현실화하기 위해 중앙보훈병원의 상급종합병원 지정 재추진에 다시 힘을 싣고 있다. 병원을 상급종합병원 반열에 올려 보훈 대상자들의 고령화로 인해 야기되는 암을 비롯해 협심증,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 질환 등 중증 질환 진료를 강화하기 위한 체계를 갖춘다는 목표다. 보훈 대상자의 중증화 추세에 따라 고난이도 수술에 대응하기 위해 의료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해 중앙보훈병원은 보건복지부 '제4기 상급종합병원 지정평가'에서 절대평가 7개 영역 중 2개 영역에서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해 탈락의 쓴잔을 마셨다.
유 병원장은 "고령의 환자가 많은 보훈병원 특성상 신생아 중환자실과 전담 전문의가 없고, 단순진료질병군 환자(경증 입원 환자)비율에서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병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본인 부담 진료비가 없는 국비 환자가 전체 환자의 절반 이상(53.8%)이고 질환에 따라 진료비 감면 비율이 달라지는 감면 환자는 40.5%에 달했다. 반면 지역주민은 5.7%에 불과했다. 2가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이유다.
그러면서도 그는 "보훈대상자(애국지사·국가 유공자 등), 군인, 경찰, 취약계층 등의 중증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상급종합병원으로 가야한다"고 강조했다. 고령화로 보훈 대상자들의 질환이 점차 중증화 되어가는 추세인 만큼 최첨단 진단·치료 장비를 도입하고 우수인력도 확보하려면 결국 현재 2차병원인 중앙보훈병원이 상급종합병원으로 지정돼 병원 수익과 직결되는 의료수가(치료비)가 높아져야 한다는 게 유 병원장의 설명이다.
![[서울=뉴시스]유근영 중앙보훈병원장. (사진= 중앙보훈병원 제공) 2021.08.24](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1/08/24/202108241154458243_l.jpg)
유 병원장은 고령화로 인한 보훈 대상자 수 감소세에 따라 장기적으로 경찰, 소방관 등 공공영역 국가사회 기여자와 지역 주민 대상의 진료를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보훈 대상자 연령은 1996년 61세에서 2019년 71세로 고령화되고 있는 반면 보훈 대상자 수는 2050년 현재의 61% 수준(약 115만명)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반면 병원 인근 둔촌 주공 아파트는 일반 분양만 5천가구에 달한다.
중앙보훈병원이 최고의 공공 의료기관으로 도약하려면 '공공병원장 3관왕'이라도 혼자 힘으로는 무리다. 코로나19 확산세 속에서도 끝까지 버텨준 의료진이 있어 힘든 시기를 잘 지나왔고, 어렵사리 감염병 전담 병동에 10병상을 부랴부랴 마련한 후에는 파견 의료진이 힘을 보탰다. 이 점을 너무나 잘 아는 유 병원장은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진의 처우 개선에도 관심이 많다. 일반 민간 대학병원에 비해 열악한 근무환경과 여건에도 불구하고 묵묵히 경륜을 쌓아온 의료진들이 정년 60세가 되면 의사 가운을 벗고 떠나는 현실이 안타까워서다.
"현장에서 공공의료를 직접 경험해보니 빈약하더군요. 그나마 장시간 근무해온 분들 덕분에 병원이 운영되고 있는데 공공 의료기관은 정년이 60세여서 연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현재 규정상 재계약은 가능하지만 임금 피크제가 적용돼 가뜩이나 적은 임금이 더 줄어 일단 그 부분이라도 완화해달라고 공단 측에 요청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일해온 것은 인정해줘야 하지 않겠어요."
☞공감언론 뉴시스 positive1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