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대한혈액학회 자문 등 통해 이 같이 밝혀
식약처 "급성백혈병 관련 이상반응 보고 미미한 수준"
식약처 "급성백혈병 관련 이상반응 보고 미미한 수준"

[파이낸셜뉴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백신이 백혈병을 유발하거나 촉발한다는 것은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2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은 대한혈액학회 자문 등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이날 조은희 코로나19 추진단 안전접종관리반장은 "대한혈액학회는 접종 후 단기간 내 백혈병 발생은 기존의 이론과 일치하지 않고, 코로나19 백신 또는 인플루엔자 백신 등 기존 백신과 백혈병의 인과성은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다"고 밝혔다.
약물(항암제)로 인한 백혈병은 수년 이후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추진단은 국가 암등록 통계에 따르면 국내에서는 매년 약 3500여명의 환자가 새롭게 백혈병 진단을 받고 있고, 60세 이후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반장은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백혈병 발생에 대한 우려는 불필요하므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고려해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또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급성백혈병 관련 국내 이상반응 보고건수는 매우 미미한 수준이고, 현재까지 미국, 유럽 등에서도 백신과의 인과성은 입증되지 않았다"면서 "국내 이상반응 사례 및 해외 조치사항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고 필요 시 안전조치를 취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진석 연세대 의대 교수는 "백혈병은 급성과 만성 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고, 현재까지 코로나19 백신 이후에 발생한 백혈병은 주로 급성 골수성 백혈병으로 보고되고 있다"면서 "이런 급성 백혈병의 발생 원인으로는 일부 유전적 소인과 벤젠 같은 발암물질, 항암제 같은 독성 물질로 알려졌으나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원인과 발생기간에 대해 잘 알려진 항암제의 경우에는 항암제 노출 수년 이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가 되고 있다"면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접종 이후에 수일에서 수개월 이후에 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발생한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맞지는 않은 것 판단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추진단은 향후에도 관련 학회 및 식약처와 함께 국외 최신동향 등을 면밀히 검토하고, 국내 코로나19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 감시를 지속하면서 코로나19 백신 안전성 검토 및 정보 공유를 지속할 예정이다.
한편 지난 8월 3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60대 남성 A씨가 아스트라제네카(AZ)백신 1차 접종 후 골수성 백혈병에 걸려 숨졌다는 소식이 전해진 바 있다.
청원인에 따르면 A씨는 지난 6월 11일 백신을 접종한 이후 몸이 쇠약해지고 소변이 제대로 나오지 않는 등 건강상태가 급격히 나빠졌다. A씨는 골수검사를 받았고 지난달 2일 백혈병 판정을 받았다. 이후 판정 엿새만인 같은 달 8일에 사망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