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삼성폰 쓰는 중국인 1%도 안돼… 제조업 공략만으론 한계 [30대 대기업 중국매출 감소]

김경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9.06 18:32

수정 2021.09.06 18:32

관련종목▶

한국 자동차 점유율도 4% 불과
일본차는 20.5%까지 높아져
화장품도 사드 이후 회복 더뎌
전문가 "FTA 서비스업 확대를"
삼성폰 쓰는 중국인 1%도 안돼… 제조업 공략만으론 한계 [30대 대기업 중국매출 감소]
국내 30대 대기업의 중국 발생 매출이 최근 4년간 약 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력 수출품목인 자동차, 스마트폰, 화장품 등의 중국 현지 점유율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문가들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을 기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서둘러 전환시켜 대중 수출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중국서 밀려나는 한국산 제품들

6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국내 매출 100대 기업 중 중국 매출을 공시한 30개 대기업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중국 총매출은 117조1000억원으로 2016년과 비교해 6.9% 줄었다. 이들 30개 대기업의 전체 해외 매출에서 중국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 25.6%에서 지난해 22.1%까지 떨어졌다.

전경련 관계자는 "2018년부터 미국의 대중국 무역규제로 화웨이 등 중국 기업의 한국산 메모리반도체 수요가 감소한 것이 매출 감소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한국 기업들의 중국 매출은 2013년에 261조원으로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세로 돌아섰다. 매출 감소에 따라 우리나라 주력 수출품의 중국 현지 점유율 하락도 두드러졌다.

한국 브랜드 자동차의 경우 2012년 중국 현지 점유율이 10%에 달했으나 2019년엔 4.8%까지 줄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4.0%까지 내려갔다. 반면 중국 자동차시장에서 일본 브랜드 점유율은 2012년 16.8%에서 2019년 20.5%까지 올랐다.

중국 수입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브랜드 점유율은 2011년 5.3%에서 2016년 27%까지 치솟았지만 사드보복 등의 영향이 겹치고 경쟁이 심해지면서 2020년 한국 브랜드 점유율은 18.9%까지 떨어졌다. 삼성전자를 필두로 2015년 7.6%에 달했던 한국 스마트폰 중국시장 점유율도 2017년 2.1%까지 떨어졌고, 2019년부터는 1% 미만까지 내려갔다. 화웨이, 샤오미, 비보, 오포 등 중국 브랜드의 점유율은 2015년 37.9%에서 2020년 말 85.4%까지 급증하면서 삼성전자를 대체했다.

■한중FTA 서비스·투자 물꼬 터야

중국에 대한 수출 증대를 위해선 현재 답보상태인 한중 FTA 서비스·투자협상의 물꼬를 터야 하는 것으로 지적됐다.

한중 투자는 기존 제조업 중심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는데 이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당초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은 협정문 발효(2015년 12월) 후 2년 내 개시하게 돼 있었다. 하지만 사드갈등으로 협상이 지연됐고, 보복조치인 한한령과 코로나19 등 변수로 추가 협상도 계속 늦어졌다.

2015년 12월 20일 한중 FTA가 발효된 후 2단계인 '한중 FTA 서비스·투자 협상'은 2018년 3월 1차 협상을 개최한 후 3년이 지났지만 아직 타결되지 못하고 있다. 한중은 지난해 10월까지 한중 FTA 제9차 서비스·투자협상을 3~4개월 주기로 개최했으나 올해는 한 차례도 후속협상이 열리지 않았다.

한중 FTA로 건설, 여행, 게임 서비스 등이 개방됐지만 실제는 중국 내 규제 등으로 한국기업의 진출이 불가능해 양국 간 시장개방 균형 확보가 필요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중 FTA 서비스분야에서 중국의 개방 수준은 컴퓨터 설비·자문 등 6개 분야에 불과하고 제한적·미개방 분야는 사업서비스·엔터테인먼트·금융서비스·연구개발(R&D) 등 149개에 달한다.
건설부문은 중국은 한국 건설사 본사의 실적을 인정하지 않지만, 한국은 중국 본사 실적을 인정하고 있다. 또 중국 게임은 한국 직접서비스가 가능하지만, 한국은 중국의 판호(해외게임의 중국 서비스 허가권) 발급의 어려움 등으로 중국시장에서 고전하고 있다.
박진우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연구원은 "한국이 우위인 여행, 건설, 법률, 문화콘텐츠 등에 대한 중국 시장개방과 확실한 이행을 보장할 근거 마련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km@fnnews.com 김경민 임광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