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차관칼럼

[차관칼럼] 숲에서 찾는 기후변화 해결책

김원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0.03 18:09

수정 2021.10.03 18:09

[차관칼럼] 숲에서 찾는 기후변화 해결책
'지구의 허파'로 불리던 아마존 열대우림이 산불과 산림파괴로 탄소를 내뿜는 '탄소 공장'으로 변했다는 과학잡지 '네이처'의 최근 연구 결과는 우리에게 충격을 주고 있다. 열대우림 파괴로 배출된 탄소의 양이 전체 열대우림에서의 흡수량보다 많아진 것이다. 이에 더해 코로나19는 산림파괴를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경제불황으로 인한 불법벌채 증가와 정부의 업무중단에 따른 불법 벌채 감시인력 감소로 작년 한 해에만 1만㎢가 넘는 아마존 열대우림이 파괴됐다.

이런 불법적 산림파괴는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산림파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인간에 의한 전체 배출량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전 세계 자동차, 비행기, 선박 등 운송수단이 배출하는 양에 버금간다. 이렇게 배출된 온실가스가 기후변화의 원인임은 더 이상 말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기후변화가 산림파괴를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급격한 기후변화로 열대우림에 가뭄이 자주 발생하고, 화재에 취약해진 숲에서는 대형 산불이 발생, 대규모 탄소가 발생하는 악순환을 야기한다.

게다가 열대우림이 분포한 주요 목재 생산국들은 대부분 개발도상국이다. 개발논리가 환경논리에 앞서기 쉽다. 국제사회가 제시한 해결책은 열대우림에서 불법 벌목된 목재의 소비를 제한하고 동시에 국내 인공림 관리를 효율화하는 것이다. 즉 목재 소비국들이 열대우림에서 불법 벌목된 나무의 반입을 막아 불법 벌목에 따른 경제적 이익을 차단하고, 그 대신 지속가능한 경영원칙을 준수한 국산 목재 사용을 늘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내자는 취지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합법목재 교역촉진제도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이 제도는 미국, 유럽연합(EU), 호주, 일본 등 선진국에 이어 지난 2018년 세계에서 6번째로 도입한 제도로, 국내에 수입되는 목재의 합법 벌채목 여부를 통관 전에 검증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우리나라는 84%의 목재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만큼 합법 수입목 사용은 생산에서 소비로 이어지는 불법 목재의 고리를 끊어내고, 세계 주요 목재 소비국으로서 책임을 다하는 모습을 국제사회에 내보이고 있는 것이다.

숲은 대표적인 탄소 흡수원이자 중요 자원인 목재의 생산기지다. 우리나라의 잘 가꿔진 소나무 숲 1㏊가 흡수하는 탄소량은 10.8t에 이른다. 이는 자동차 4.5대가 연간 배출하는 탄소량에 해당하는 수치로, 숲이야말로 기후위기 해결에 적합한 파트너임을 뜻한다. 동시에 우리는 숲에서 수확되는 친환경 자원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동력을 찾을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국내 목재 생산을 확대하고 국산 목재 사용을 늘려야 한다. 이는 국내 산업 보호에서부터 무역수지 적자에 따른 국부유출 방지, 해외유입 탄소 저감 그리고 국제적 탄소배출권 확보에 이르는 다양한 경제적 효과까지 가져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입목재의 합법성을 더욱 철저하게 관리해야 한다. 숲을 올바르게 가꾸고, 올바르게 수확된 나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에 우리의 미래가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산림청은 이를 위해 앞으로도 합법목재 교역촉진제도를 비롯한 산림보호정책의 국제적 패러다임을 선도하고, 우리 숲을 더 건강하게 가꾸는 데 전력을 다할 것이다.

최병암 산림청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