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15년간 전세계 혁신기업 167개, 韓 삼성·LG·현대차·기아 단 4곳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0.06 11:00

수정 2021.10.06 11:00

자료:전경련
자료:전경련

[파이낸셜뉴스] 지난 15년 동안 167개의 글로벌 혁신기업이 선정됐지만 이중 우리나라 기업은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차, 기아 등 단 4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재계에 따르면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2005년부터 매년 '가장 혁신적인 기업(Most Innovative Companies)' 50개사를 선정하고 있다.

BCG가 지난 15년간 최소 한번 이상 혁신기업으로 선정한 기업은 총 167개이다. 국적은 미국 82곳, 영국 12곳, 독일 12곳, 일본 11곳, 중국(홍콩 포함) 10곳, 프랑스 5곳, 한국 4곳 등이었다.

한국의 경우 삼성전자가 매년 선정됐으며 LG전자가 8회, 현대자동차가 4회, 기아가 2회를 각각 기록했다.



이와 관련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이들 혁신기업과 글로벌 매출 500대 기업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21년 혁신기업으로 선정된 50개사의 평균 자산은 500대 기업 평균의 절반(0.5배)이지만, 매출은 1.2배, 영업이익은 1.8배, 고용은 1.4배 높은 것으로 평가됐다.

아울러 혁신기업은 글로벌 매출 500대 기업보다도 연구개발(R&D), 설비투자, 인수합병(M&A)을 더욱 활발히 하고 있으며 생산성 또한 높았다.

혁신기업의 R&D 집약도(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는 10.0%로, 500대 기업(3.5%)보다 2.9배 높았다. 혁신기업은 현금성자산 보유분의 22.0%를 설비투자에 지출했는데 이는 500대 기업(10.0%)의 2.2배 수준이다.

혁신기업의 과거 5년간(2016~2020년) M&A 횟수는 평균 10.7회로, 500대 기업 평균(4.8회)의 2.2배였다.

영업이익을 고용인원으로 나눈 1인당 생산성 역시 혁신기업(6만1000달러)이 500대 기업(4만7000달러)보다 1.3배 높았다.

전경련은 "한국에서 새로운 혁신기업이 탄생할 수 있도록 R&D, 설비투자에 대한 세액공제를 늘리고 투자, M&A를 저해하는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며 "2021년 혁신기업 명단에 새롭게 진입한 5개 기업 중 3개사가 바이오⸱제약업종인 만큼 유망 산업에 대한 집중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