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발사 앞둔 누리호, 우주청 설립할 때 됐다

파이낸셜뉴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0.20 18:00

수정 2021.10.20 18:49

7대 강국 진입이 목표
미·중 단일조직이 모델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발사 하루전인 20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 세워졌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사진=fn뉴스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가 발사 하루전인 20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 제2발사대에 세워졌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사진=fn뉴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이르면 21일 전남 고흥의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된다. 누리호 개발에 착수한 2010년부터 따지면 11년 만이다. 한국 최초의 발사체인 나로호(2013년) 발사를 기준으로 하면 8년 만이다. 나로호는 엔진 등 핵심기술에서 러시아의 도움을 받았다.
그에 비하면 누리호는 처음부터 끝까지 우리가 만들었다.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면 한국은 세계에서 7번째로 중대형 발사체를 보유한 나라가 된다.

문재인정부는 항공우주산업에 남다른 공을 들이고 있다. 지난 3월 문 대통령은 나로우주센터 현지에서 누리호 종합연소시험을 직접 참관했다. 연소시험 성공은 누리호 개발의 최종 단계로 평가된다. 이때 문 대통령은 한국을 장차 세계 7대 우주강국으로 도약시킨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미국, 러시아, 유럽, 중국, 일본, 인도 등 전통 우주강국이 지배하는 시장에 한국이 도전장을 내겠다는 뜻이다.

5월엔 워싱턴 한미 정상회담에서 의미 있는 합의가 도출됐다. 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한미 미사일 지침을 종료한다고 공동발표했다. 1979년 체결된 미사일 지침을 통해 미국은 한국이 개발하는 미사일의 탄두중량, 사거리 등에 제한을 뒀다. 하지만 지침이 종료되면서 한국은 발사체 개발 제한이 풀렸다. 이는 군사적으로는 물론 우리나라 우주항공산업 측면에서도 큰 소득이다. 달 탐사 프로젝트도 착착 진행 중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5월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아르테미스' 참여를 위한 약정에 서명했다. 아르테미스는 유인 달탐사 프로그램이다. 문 정부는 2022년에 달 궤도선을 발사하고, 2030년까지 한국형 발사체를 이용해 달에 착륙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누리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되면 국내 우주산업은 탄력을 받게 된다. 차제에 우주청 설립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뤄지길 바란다. 우주청 설립은 10여년 묵은 과제다. 옛 소련(러시아)은 1957년 '소비에트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통해 인류 최초로 스푸트니크 위성을 쏘아올리는 개가를 올렸다. 충격에 빠진 미국은 바로 이듬해인 1958년 NASA를 세웠다. 달에 착륙한 아폴로 프로젝트가 바로 NASA의 작품이다. 일본은 2003년에 관련 3개 기구를 통합해 문부과학성 산하에 국립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를 출범시켰다. 신흥 우주강국 중국은 1993년 국가항천국(CNSA)을 세워 종종 세계 우주산업계를 놀라움에 빠뜨리고 있다.

우리는 대통령 아래 국가우주위원회(위원장 과기부 장관)가 큰 그림을 그리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실무를 맡는 구조다. 미사일 지침 종료와 누리호 발사를 계기로 신설되는 우주청을 통해 좀더 짜임새 있는 우주산업 전략을 짤 필요가 있다.
미국은 이미 스페이스X(테슬라), 블루오리진(아마존), 버진갤럭틱(버진그룹) 등이 주도하는 민간 우주관광 시대에 들어섰다. 그에 비하면 한국 민간 우주산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우주산업만큼은 패스트 팔로어 전략이 유효해 보인다. 그 출발점은 우주청 신설이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