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골프일반

박민지, "대상 경쟁 끝났다"..임희정, "끝까지 간다"

정대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1.09 06:48

수정 2021.11.09 08:18

KLPGA 시즌 최종전 12일 개막
최혜진, 2연패로 시즌 첫승 도전
이가영.박주영 등 생애 첫승 사냥
60위 밖 시드 탈락 선수들 배수진
 
오는 12일부터 강원도 춘천 라비에벨 올드코스에서 열리는 KLPGA투어 시즌 최종전 SK쉴더스·SK텔레콤 챔피언십에서 대상을 놓고 최후의 일전을 펼치게 될 박민지(왼쪽)와 임희정. 현재 대상 포인트 1, 2위인 박민지와 임희정 간의 포인트 차이는 62점으로 박민지가 다소 유리하다. /사진=KLPGA
오는 12일부터 강원도 춘천 라비에벨 올드코스에서 열리는 KLPGA투어 시즌 최종전 SK쉴더스·SK텔레콤 챔피언십에서 대상을 놓고 최후의 일전을 펼치게 될 박민지(왼쪽)와 임희정. 현재 대상 포인트 1, 2위인 박민지와 임희정 간의 포인트 차이는 62점으로 박민지가 다소 유리하다. /사진=KLPGA
[파이낸셜뉴스]필드를 뜨겁게 달구며 골프팬들의 관심을 사로 잡았던 KLPGA투어도 이제 시즌 최종전만을 남겨 놓았다. 오는 12일부터 강원도 춘천 라비에벨 올드코스(파72)에서 열리는 SK쉴더스·SK텔레콤 챔피언십(총상금 10억원)이 2021년 마지막 대회다.

이 대회서 주요 개인상 부문 주인공이 가려진다. 다승왕과 상금왕은 시즌 6승을 거둔 박민지(23·NH투자증권)가 일찌감치 차지했다.
그리고 평균타수는 이변이 없는 한 장하나(29·비씨카드)가 생애 처음으로 가져갈 것으로 예상된다. 평생 한 번인 신인상은 송가은(21·새마을금고)과 홍정민(19·CJ온스타일)의 2파전으로 압축된 상태다.

하지만 올 시즌 최고의 활약을 펼친 선수에게 주어지는 대상만큼은 그야말로 장갑을 벗어 봐야 된다. 현재 1위는 680점을 획득한 박민지다. 그 뒤를 618점을 얻고 있는 임희정(21·한국토지신탁)이 쫓고 있다. 두 선수간의 포인트 차는 62점이어서 박민지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그렇다고 임희정의 역전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

이 대회 우승자에게는 70점의 포인트가 주어진다. 따라서 임희정이 우승하고 박민지가 10위권 이하로 밀려 포인트를 전혀 얻지 못하면 대상은 임희정의 극적인 역전 드라마로 막을 내리게 된다.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는 또 있다. 일부 상위권 선수들의 시즌 무관 탈출 여부다. 그 중 시즌 상금 순위 '톱10' 중에서 유일하게 우승이 없는 안나린(25·문영)이 우승으로 피날레를 장식할 수 있을 지 귀추가 주목된다. 상금 순위 9위 대상 포인트 6위에 자리하고 있는 안나린은 이번 대회를 마친 뒤 미국여자프로골프(LPGA)투어 퀄리파잉시리즈에 응시한다는 계획이다.

절박하긴 최혜진(22·롯데)도 마찬가지다. 2017년 2승, 2018년 2승, 2019년 5승, 그리고 작년 이 대회 우승으로 4년 연속 우승 기록을 이어간 최혜진은 올 시즌 무관이어서 이 대회 우승에 올인한다. '홀수 해 무승 징크스' 탈출에 안간힘을 쏟고 있는 이소영(24·롯데)도 상반기 부진을 씻고 최근 3개 대회 연속 '톱10' 여세를 몰아 홀수 해 첫 우승에 도전한다. 이소영은 통산 5승을 모두 짝수 해에 거뒀다.

이가영(22·NH투자증권)과 박주영(31·동부건설)이 지긋지긋한 생애 첫 승 해갈에 성공할 수 있을 지도 관심사다. 국가대표 출신으로 2019년에 투어에 데뷔한 이가영은 여러 차례 우승 기회가 있었으나 고질적인 뒷심 부족으로 기회를 살리지 못했다. 박주영은 자신의 250번째 출전인 이번 대회서 생애 첫 우승에 도전한다.

시드 유지에 비상이 걸린 60위권 이하 선수들의 대반전도 관전 포인트다. 내년 시드는 시즌 최종전까지 치른 뒤 상금 순위 60위 이내에 들어야 한다. 따라서 상금 순위 60위 언저리에 있는 선수들의 생존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그 중에서도 현재 상금 순위 67위인 박결(25·삼일제약)이 2015년부터 8년 연속 시드를 유지할 수 있을 지 관심사다.

이번 대회는 36홀을 마친 뒤 상위 30위까지만(아마추어 포함) 최종 라운드에 진출하도록 새로운 컷오프 방식을 도입했다. 기존의 컷오프 방식과는 달리 31위 이후의 선수들에게도 상금 분배표에 따라 상금을 지급한다.

물론 공식 상금 기록에도 포함된다. 상위 30위의 상금액은 늘어나고 컷 탈락한 하위권 선수들의 상금은 줄어든 상금 배분구조다.
따라서 다음 시즌 시드권 경쟁이 그 어느 때 보다 치열해질 전망이다.

golf@fnnews.com 정대균 골프전문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