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우 베이징특파원
잠시나마 한국 네티즌들의 비판에서 벗어난 중국은 어떨까. 이미 알려진 대로 한국의 요소수 파동은 중국의 요소 수출금지에서 시작됐다. 지난달 15일 중국은 자국 내 밀 비료 수요 확보를 위해 비료와 요소의 수출제한 조치를 내렸다. 한국 요소의 97%는 중국에서 나온다. 원재료 수입이 막혔으니, 당연히 요소수를 생산할 수 없다.
중국 석탄 부족도 원인으로 꼽힌다. 요소수는 석탄에서 추출한 암모니아로도 만든다. 석탄이 없어 가로등까지 꺼놓은 상황에서 파생제품까지 기대하긴 힘들다. 여기다 전력난은 요소 공장도 멈추게 했다. 그러던 중국 정부가 지난 7일 "석탄 공급이 뚜렷이 증가하면서 전력 공급이 정상을 되찾았다"고 깜짝 발표를 했다. 일일 석탄 생산량도 연간 최고치를 기록했다는 주장도 내놨다. 이 덕분인지, 중국 내 요소 가격도 5%가량 급락했다. 요소 35%가 들어가는 화학비료 투입시기도 11월 끝난다고 관영 매체는 보도했다. 이로써 중국 정부가 요소 수출 통제 이유로 제시했던 부분들은 사실상 모두 해소가 된 셈이다. 중국 입장에선 반중 정서가 더 커지지 전에 정상화를 이뤄 다행으로 볼 수도 있겠다.
그렇다면 이제 수출 통제를 풀어야 할 시기도 됐다.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의 약속처럼 한국의 대란은 예상치 못한 일이었으니, '중국 차원의 노력'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
만약 현 시점에서도 요소 공급을 틀어막고 있으면 속내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미중 공급망 경쟁에서 한국의 선택을 압박할 카드로 이용했든지, 시진핑 국가주석의 3연임을 앞두고 주민 불만과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전력난 해소를 거짓으로 발표했든지 둘 중 하나다. 물론 수입 다변화 등 한국 정부의 후속 조치는 별개다. 알루미늄·마그네슘 등 중국 의존도가 높은 다른 원자재의 '제2 요소수' 사태는 언제든지 또 벌어질 수 있다.
jjw@fnnews.com 정지우 베이징특파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