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서울복합발전소, 석탄발전소→세계 최초 대용량 도심 지하발전소로 탈바꿈

뉴스1

입력 2021.11.23 06:00

수정 2021.11.23 06:00

서울 마포구 당인리 서울복합화력발전소 내에 들어설 주민편익시설 조감도.(마포구 제공)© 뉴스1
서울 마포구 당인리 서울복합화력발전소 내에 들어설 주민편익시설 조감도.(마포구 제공)© 뉴스1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우리나라 최초 석탄발전소인 서울복합발전소가 세계 최초의 대용량 도심 지하발전소로 탈바꿈했다.

23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서울복합발전은 이날 오전 중부발전 서울복합발전본부 마포새빛문화숲에서 준공식을 가질 예정이다.

서울복합발전은 지난 2013년 6월부터 발전소 성능개선 및 지하화 공사를 시작한 이후 2019년 11월부터 발전을 재개, 올해 4월 부터는 발전소 지상공원(마포새빛문화숲)을 시민에게 개방해왔다.

그 결과 서울복합발전소는 대규모 발전설비의 세계 최초 지하화 및 지상 공원화한 '친환경 주민친화형 발전소'라는 별칭을 얻게됐다. 발전소를 미술관으로 개조한 영국의 테이트모던(Tate Modern)처럼 기존 시설물인 4·5호기(폐지)는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서울복합발전소의 연료원은 LNG로 석탄발전소와 달리 황산화물과 먼지가 배출되지 않으며 질소산화물은 대기환경보전법상 허용기준인 20ppm의 약 1/5 이하(4~4.5ppm)로 배출·운영하고 있어 친환경 발전소로 불린다.

서울복합발전의 준공은 지난 2019년 11월에 완료되고, 올해 4월 주민에게 공원이 개방됐지만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준공식을 개최하기 위해 준공식을 지연했다가 이날 개최하게 됐다.

이원주 국장은 "우리나라의 경제성장과 산업화에 기여한 석탄발전이 소임을 다해 퇴장하고 그 자리를 LNG복합 발전소로 대체하는 과정에 있어서, 서울복합발전소는 발전소가 단순히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넘어 지역주민과 공존하며 문화·예술공간의 역할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이 국장은 "향후 노후석탄의 LNG복합 대체와 건설 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수용성을 높이고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