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CPTPP 가입, 차이나 리스크 줄일 기회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13 18:00

수정 2021.12.13 18:00

수출다변화 전략상 불가피
농업등 피해층 대책이 관건
정부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위한 여론 수렴과 사회적 논의에 착수하기로 했다. 한국의 수출액 중 CPTPP 11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3.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사진=뉴시스
정부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을 위한 여론 수렴과 사회적 논의에 착수하기로 했다. 한국의 수출액 중 CPTPP 11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3.2%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사진=뉴시스
정부가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을 향해 공식적으로 첫발을 내디뎠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3일 대외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고 "CPTPP 가입을 위한 여론 수렴과 사회적 논의에 착수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내 경제 질서의 변화를 거론하면서 "정부 부처 간 논의에만 머물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부연하면서다. 그간 정부나 통상전문가들 사이에 제기된, 신중론을 감안해 단계적 공론화 과정을 밟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CPTPP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에서 미국이 탈퇴하자 일본과 호주, 멕시코 등 나머지 11개 국가가 2018년 말 출범시킨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이다. 우리나라가 지난해 11월 가입한 세계 최대 규모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전 세계 비중 30%)에 비해 참가국 수와 교역·인구 등 규모는 뒤진다. 하지만 2019년 기준으로 세계 무역의 15%를 차지하는 데다 개방폭은 RCEP 등 어느 FTA보다 넓다. 게다가 회원국 상당수가 농업이 발달한 나라들이라 국내 농업의 타격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잖았다. CPTPP 가입이 그간 '뜨거운 감자' 같은 이슈였던 이유다.

그러나 갈수록 격화되는 미·중 간 무역전쟁의 추이를 감안하면 더는 망설일 수만 없게 됐다. 대만뿐 아니라 RECP를 주도한 중국조차 지난 9월 CPTPP 가입을 신청했다. 여기엔 조 바이든 행정부가 중국 견제를 위해 CPTPP를 활용할 가능성이 점쳐지자 선수를 친 측면도 있었다. 그런데도 우리만 손놓고 있으면 중국·일본 등에 주도권을 내준 채 아태지역 통상대전의 객체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문재인정부 초 사드 보복과 최근 중국의 수출제한으로 요소수 파동을 겪으면서 차이나 리스크를 실감했다. CPTPP엔 우리와 FTA를 맺지 않은 일본, 멕시코 이외에 베트남, 싱가포르 등 아세안 회원국들도 참여 중이다. CPTPP 가입이 결국 대중 무역의존도를 줄일 지렛대인 셈이다. 특히 CPTPP의 높은 시장개방 수준과 누적 원산지 기준을 잘만 활용하면 중간재를 만드는 국내 중소기업들의 수출 증진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모든 FTA가 그렇듯 CPTPP도 가입국 안에서 부문별로 빛과 그늘이 생기게 된다.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이나 한·미, 한·중, 한·유럽연합(EU) FTA 체결 등 고비마다 이와 유사한 우려는 제기됐었다. 이번에 농민단체들이 CPTPP 가입을 반대하고 있는 것도 그래서일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산업화 이후 개방을 통해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으로 발돋움한 대한민국의 성공 스토리를 부인할 순 없다. 구더기 무서워 언제까지 장 못 담글 순 없지 않나. 당장 가입 신청을 해도 가입 조건 협상을 거쳐 CPTPP가 발효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마련이다.
정부는 앞으로 공론화 과정에서 피해부문에 대한 정밀한 정책적 지원 대책 수립, 특히 농업인 설득에 성의를 다하기 바란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