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결혼 안하는 30대 초반… 88년생 혼인율 37%, 83년생은 67%

오은선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14 17:52

수정 2021.12.14 17:52

통계청 ‘인구동태 코호트 DB’ 발표
혼인율 격차 30%p나 벌어져
두 집단 출산율도 21.5%p 차이
83년생 25% "출산으로 경력단절"
결혼 안하는 30대 초반… 88년생 혼인율 37%, 83년생은 67%
30대 초반일수록 결혼을 하지 않는 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1983년생과 1988년생의 혼인율은 30% 이상 차이가 났다. 출산율 역시 젊을수록 낮아 격차가 벌어졌다. 1983년생의 경우 여성 4명 중 1명은 출산으로 경력이 단절됐다.

■혼인율·출산율 격차↑

14일 통계청이 1983년생과 1988년생 중심으로 최초 작성한 '인구동태 코호트 데이터베이스(DB)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에서 출생한 1983년생과 1988년생은 각각 76만9000명, 63만3000명이다.

2019년 조사 기준으로 83년생은 국내 거주자(71만2000명) 중 66.9%가 혼인을 했고, 88년생 국내 거주자(59만5000명) 중 36.9%만이 혼인을 했다.
83년생 88년생 두 집단간 격차는 30%p나 벌어졌다.

만 30세 이전까지 혼인한 비중의 경우 83년생은 남자 33.7% 여자 55.9%인 반면 88년생은 남자 24.9%, 여자 45.7%였다. 격차는 남자 기준 8.8%p, 여자 기준 10.2%였다.

혼인한 사람들 가운데서도 출산율은 벌어졌다. 혼인한 83년생(47만6000명) 가운데 82.9%는 자녀를 출산했고, 혼인한 88년생(21만9000명) 중에선 61.4%만이 자녀를 낳았다. 두 집단 간 격차는 21.5%p나 차이났다.

혼인한 83년생 중 자녀를 1명 출산한 비중은 38.0%, 2명 이상은 45.0%, 88년생은 자녀가 1명인 비중이 39.3%, 2명 이상인 비중은 22.1%였다. 첫째 비중은 두 집단 간 큰 차이가 없지만 둘째 이상 출산으로 보면 2배 이상 벌어졌다.

만 30세 이전까지 혼인한 비중의 경우 83년생은 남자 33.7% 여자 55.9%인 반면 88년생은 남자 24.9%, 여자 45.7%였다. 격차는 남자 기준 8.8%p, 여자 기준 10.2%p이다.

■경력단절여성 4명 중 1명…주택 소유는 10~20% 불과

혼인율과 출산율이 격차가 큰 이유는 경력단절 통계를 통해 비춰볼 수 있다. 83년생 기혼 여성 가운데 출산을 기점으로 직업을 잃은 사람은 전체의 25.5%를 차지했다. 결혼 당시에는 직업이 있었으나 출산을 하면서 직업이 없어진 경우로, 4명중 1명꼴이다. 결혼과 출산을 하면서 직업을 유지한 여성은 전체의 39.6%였다. 88년생 여성 역시 5명 중 1명꼴인 22.2%는 출산과 함께 경력단절을 겪었다. 반면 83년생 남성의 경우 93.0%가 결혼이나 출산과 관계없이 직업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을 하는 전체 83년생의 비중은 65.4%로 집계됐다. 88년생은 66.9%였다. 기혼자의 경우 83년생의 66.4%가, 88년생의 66.0%가 일을 했고, 미혼자는 이 비중이 각각 63.3%, 67.4%로 나타났다.

주택 소유 비중은 10~20% 수준으로 적었다. 83년생의 28.8%는 집을 가지고 있었고, 88년생은 이 비중이 13.6%에 불과하다. 기혼자의 경우 83년생과 88년생의 주택 소유 비중은 각각 35.0%, 21.2%였다. 미혼자는 16.1%, 9.1%로 이보다 적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아무래도 결혼을 하면서 집을 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기혼자가 많은 83년생의 주택 소유 비중이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인구동태 코호트 통계는 1983년생·1988년생 등 특정 출생 연도에 속한 인구집단이 2019년까지 나이 들어가면서 경험한 결혼·이혼·출산·사망 등의 변화를 분석한 자료다. 통계청은 올해 처음으로 출생 코호트별 통계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류근관 통계청장은 "각각의 통계 데이터 결합을 통해 인구구조 변화 분석 및 다양한 행정자료와 융복합할 수 있도록 자료를 최초로 서비스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저출산, 청년, 고용 등 다양한 정책 수립의 증거 기반 자료로 크게 활용될 것"이라고 전했다.

onsunn@fnnews.com 오은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