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디지털정부 틀 잡는다…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 신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26 16:59

수정 2021.12.27 10:14

1년8개월만에 조직개편
범정부 데이터 허브기관 만들어
혁신조직실·디지털정부국 재편
전자증명서·국민비서 통합 관리
디지털정부 틀 잡는다… 행안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 신설
행정안전부가 '국민비서' 등 대국민 디지털정부 서비스 및 공공데이터 활용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조직을 확대 개편했다. 통합데이터분석센터를 신설하고 관련 업무를 통폐합하는 등 행정 편의상 흩어져있던 정부혁신조직실과 디지털정부국 업무를 기능 중심으로 재편한 것이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비대면 서비스 수요 급증은 물론, 전자증명서·마이데이터 등 디지털정부 서비스도 빠르게 발전 확산하고 있어 효율성 측면에서 디지털정부 조직 개편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디지털정부국 조직 개편은 지난 2020년 4월이후 1년8개월만이다.

26일 행안부는 범정부 데이터 허브기관인 통합데이터분석센터를 신설하고 관련 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정부혁신조직실 및 디지털정부국 기능을 재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14일 행안부는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행정안전부와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령안을 국무회의에서 의결했다.

이번 행안부 조직 개편은 △정부혁신 핵심자원으로 공공데이터 활용성 강화 △기구(실·국) 증설 없이 현 정원 내에서 업 무 조정이 특징이다.

최훈 행안부 기획조정실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 저출산·지방소멸 등 미래 국가전략 수립 및 과학적 행정을 위한 공공분야 데이터의 분석·활용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대응해 공공데이터를 정부혁신의 핵심자원으로 활용하고 융복합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취지"라고 조직개편 배경을 설명했다.

이번 조직 개편은 공공데이터정책 업무를 수행하는 정부혁신조직실과 디지털정부국이 대상이다. 실·국 수준의 기구 증설 없이 기능에 맞춰 과 단위 조직을 통폐합했다. 이에 따라 정부혁신조직실은 기존 3관 10과(150명)에서 3관 12과(180명)으로 확대됐다. 디지털정부국은 기존 1관 10과(132명)에서 1관8과(111명)으로 축소됐다.

조직 개편 내용을 구체적으로 보면 정부혁신조직실은 기존 공공서비스정책관이 폐지되고 공공데이터정책관으로 재편됐다. 소속 3개과(공공데이터정책과, 공공데이터유통과,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디지털정부국에서 이관됐다.

특히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기존 빅데이터분석활용과 업무를 흡수해 신설됐다. 데이터기반행정법(2020년 12월 시행)에 따라 필요 인력(9명)은 순증원됐다. 이 센터는 국가 빅데이터 분석·활용 및 공통기반 플랫폼 운영, 빅데이터 청년인턴 사업 등을 맡는다.

디지털정부국은 정부혁신조직실에서 맡았던 생애주기 통합제공, 공유누리 등의 서비스 기능을 넘겨받았다. 이 업무를 해왔던 공공서비스혁신과는 해체되고 지역디지털서비스과로 통합 재편됐다. 전자정부 사업을 총괄 지원하는 디지털서비스정책과는 신설됐다. 아울러 디지털정부국의 공공데이터정책관은 공공지능정책관으로 이름을 바꿔 재편됐다. 공공분야 지능형 서비스 도입 정책을 총괄한다.

특히 기존 민원제도혁신과에서 해왔던 전자증명서 업무는 국민비서·마이데이터와 연계, 서비스를 고도화하기 위해 공공지능정책과에 통합됐다. 서보람 행안부 디지털정부국장은 "국민비서에 마이데이터, 전자증명서를 결합하는 등 인공지능(AI) 정책 기능을 강화하고 새로운 융·복합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국민비서(구삐)는 행안부가 지난 3월 개통한 개인 맞춤형 행정정보 알림서비스이다. 코로나19 백신접종 안내, 국민 상생지원금 지급 등에 관한 알림서비스로 개통 6개월 만에 가입자 1300만명을 돌파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코로나19 여파로 국민들이 자신의 행정정보를 온라인(모바일)상에서 전자문서로 행정기관과 은행, 신용정보회사 등에 제출할 수 있는 일명 마이데이터 서비스도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skjung@fnnews.com 정상균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