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방역당국, 자가 동선확인 앱 '코동이' 전국 시행 검토

김동규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28 16:13

수정 2021.12.28 16:13

정부 수도권 한정  '코로나 동선 안심이' 앱, 전국 시행 계획 중
코로나 동선 안심이 앱(코동이). 뉴시스 제공
코로나 동선 안심이 앱(코동이). 뉴시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방역당국이 자가 동선 입력 모바일 앱(APP)을 전국 단위로 시행하고자 사업 타당성을 검토하고 있다. 보다 정확한 역학조사 결과를 얻기 위해서다.

박영준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28일 오후 질병청 백브리핑에서 이 같이 밝혔다.

박 팀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해당 앱은 지난해 민간이 개발해 현재까지 서울과 경기에서 운영 중인 시스템으로 장점과 단점을 면밀히 살피고 있다"면서 "다음해 3월까지 연구용역을 하고 결과가 긍정적이라면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앱은 '코로나 동선 안심이'(코동이)'으로 알려져 있다. 확진자가 스스로 자신의 동선을 기록하면 확진자의 동선과 비교해 주는 앱이다.


이 앱은 지역 보건소가 조사한 확진자의 동선 중 대외적으로 공개 가능한 부분을 입력한 데이터베이스(DB)에 기반한다. 위성항법장치(GPS)에 기반해 앱 사용자의 동선과 보건소 DB에서 얻은 확진자 동선을 대조한다. 만일 동선이 겹친다면 PCR 검사를 권고하는 안내 문자메시지를 띄운다.

박 팀장은 "현재까지 확인된 앱의 장점으로 시민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 수 있고, 보다 폭 넓게 GPS 데이터를 확보해 방역에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꼽았다.
반면 단점으로는 "GPS 기반이라 정확도가 떨어져 반경 50~100m 안의 지점은 명확하게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잘못된 안내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당 앱이 전국 단위로 시행될 경우 기존 역학 조사관의 역할이 축소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박 팀장은 "해당 앱은 역학조사의 보조적인 수단이다.
역학 조사관의 역할은 축소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kyu0705@fnnews.com 김동규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