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뉴스1) 나혜윤 기자 = 정부가 '경북 구미형 일자리'를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추가 선정했다. 상생형 지역일자리로는 전국 6번째 선정이며, 구미 상생형 일자리 사업은 향후 187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9일 제5차 상생형 지역일자리 심의위원회를 개최해 광주, 밀양, 횡성, 군산, 부산에 이어 '구미형 일자리'를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추가 선정했다고 밝혔다.
구미형 일자리는 LG화학이 자회사로 LG BCM(Battery Core Material)을 설립해 187명을 신규 고용하는 사업이다. LG BCM은 연간 6만톤 생산능력을 갖춘 이차전지 양극재 공장으로, LG화학은 공장 건설에 3년간 4754억원을 투자한다.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지역 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사·민·정 경제주체간 고용, 투자, 복리 후생 등 분야 합의에 기반한 사업이다. 구미형 일자리 역시 Δ기업간 상생 Δ지역 상생 Δ노사 상생 Δ지방정부 지원 등 노·사·민·정의 상생 요소를 갖춰, 이날 심의위원회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로 선정됐다.
'기업간 상생'과 관련해선 LG BCM이 협력 기업에게 안전설비·분석 장비를 지원하고, 구미제5국가산단 내 ESG펀드와 상생협력기금을 조성한다.
'지역 상생'을 위해선 지역 교육기관(마이스터고, 폴리텍, 금오공대)과 전문 교육과정 및 장학제도 운영 협약 등이 체결된다.
'노사 상생' 차원에서는 적정 임금 합의, 노사 분규 자제, 노사 갈등 발생시 합리적 해결과 분규 최소화를 위한 갈등조정위원회가 설치된다.
'지방정부 지원'과 관련해선 국가산단 임대료의 50년간 무상 지원 등이 이루어진다.
심의위 위원장인 문승욱 산업부 장관은 "구미형 일자리는 지역 노·사·민·정 합의를 기반으로 이차전지 양극재 분야 투자가 이루어져 고용 증가,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핵심소재의 안정적 공급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정부는 구미형 일자리가 차질 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고, 진행 상황을 수시 점검하며 지역도 긴밀히 소통해 운영상 애로 사항도 해소할 계획이다.
한편 이날 심의위에서는 Δ밀양형 일자리 추진상황 보고 Δ횡성형 일자리 추진상황 보고 Δ횡성형 일자리 사업내용 변경 (참여기업에 모터 생산업체인 ㈜부솔이피티 추가 등) 안건도 함께 논의됐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