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편집자주]부산에서는 현재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와 북항재개발 사업 등 대규모 국책사업이 진행 중이다. 특히 이들 사업들은 부산의 미래를 결정짓는 핵심 키(key)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런 상황 속에서 3월9일 대통령선거는 부산 입장에서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뉴스1은 대선을 앞두고 부산지역의 대형 이슈들을 점검한다.
(부산=뉴스1) 박채오 기자 =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개최 예정지인 북항재개발 사업의 조속한 완공이 필요하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한 듯 부산을 찾는 여·야 대선후보들은 한목소리로 북항재개발 사업의 조속한 완공을 약속하고 있다.
◇‘노무현의 꿈’ 북항재개발 사업이란?
부산항 개항 이래 가장 큰 프로젝트인 북항재개발사업은 사용되지 않는 재래부두를 재개발해 시민들에게 돌려주자는 취지로 진행된 사업이다.
1990년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85%를 처리하던 북항은 지난 2006년 부산신항이 개장하면서 점점 쇠퇴하게 됐다. 이때 북항에 대한 기능을 재정비해 지금까지 단절됐던 수변공간을 시민들에게 되돌려주자는 취지로 추진된 사업이 바로 북항재개발 사업이다.
지난 2007년 북항을 찾은 노무현 전 대통령은 슬리퍼를 신고 아무 때나 즐길 수 있는 북항을 만들겠다고 선언했고, 이는 부산시민들의 오랜 염원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2008년 항만재개발 사업이 시작된 이후 개발 계획이 수차례 변경되는 등 사업은 지지부진 했고 시민들의 관심 속에서도 사라져갔다. 그러다 문재인 정부에서 국책사업으로 추진하면서 속도가 붙기 시작하더니 이제야 사업 성과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실제 지난달 23일 북항재개발 사업지(3부두) 내 조성된 1호 공원 일부(2만6000㎡)가 공개됐다. 부산항만공사는 올해 안에 기반시설 공사를 마무리하고 친수공원 전체 부지 19만㎡를 완전 개방한다는 방침이다.
◇항만과 철도시설·원도심 개발이 결합된 2단계 사업
현재 진행 중인 북항재개발 사업은 1단계 사업으로, 부산항 1~4부두, 중앙부두·국제여객부두 일원 등 46만평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다. 해양레포츠, 마리나, 오페라하우스, 경관수로 같은 다양한 해양관광 콘텐츠로 꾸며져 부산 시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휴식공간으로 개발을 추진 중이다.
2단계 사업은 1단계에(153만㎡)에 비해 좀 더 넓은 부지(228만㎡)를 대상으로 사업이 진행된다.
1단계 사업이 단순 항만재개발 사업이라면 2단계 사업은 유휴항만·철도시설 등을 포함한 도심과 맞닿은 지역을 개발하는 통합연계사업이다. 특히 원도심 대개조와 연계해 추진되는 만큼 원도심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부산시는 올해 상반기 예비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하반기에는 사업계획 수립 및 시행자를 지정해 2단계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