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기업 40% 이상 "연쇄 이직 현상 경험했다"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1.28 15:00

수정 2022.01.28 14:59

기업 40% 이상 "연쇄 이직 현상 경험했다"
[파이낸셜뉴스] 한명의 직원이 퇴사하면서부터 시작되는 연쇄 퇴사를 겪어봤다고 답한 조직이 10곳 중 4곳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에서 직원의 이탈 방지는 조직관리 및 기업의 성장 측면에서 중요한 일로 여겨지는 가운데 실제 기업들도 이른바 '이직 전염' 현상을 경험한 것이다.

28일 커리어테크 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571개사를 대상으로 '이직 전염'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10곳 중 4곳(35.4%)에서 연쇄 퇴사 현상, 이른바 '이직 전염'이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복수응답이 가능한 질문을 한 경과 '연봉 등 보상체계가 안 좋아서'(51.5%)라는 답이 1순위로 꼽혔다. 계속해서 '회사에서 새로운 비전을 제시 해 주지 못해서'(32.2%), '참지 않고, 이탈을 해도 문제가 없다는 인식이 확산돼서'(27.7%), '체계적인 인사관리가 안 되고 있어서'(24.3%), '불안감이 조성돼서'(17.3%), '직원들 사이에 안 좋은 소문이 퍼져서'(15.8%) 등이 뒤를 이었다.



이직 전염 현상은 주로 '장기근속자'(43.1%, 복수응답)와 '신입사원'(40.6%)이 퇴사할 때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고성과자 직원'(28.7%), '직책자'(16.8%)의 퇴사는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미쳤다.

특히 입사 1년 미만이 된 직원의 퇴사비율은 평균 23.2% 로 집계됐다. 10명 중 2명 이상은 1년 내 퇴사를 하는 것이다. 퇴사자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직원의 입사시기도 '입사 후 1년 미만'(43.4%)이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2년차'(19.6%), '3년차'(18.6%), '5년차'(7.4%) 등의 순이었다.

퇴사자들의 사유는 '연봉을 더 높이기 위해'(21.4%)가 가장 많았다. 이어 '평가/보상에 대한 불만'(17.7%), '사회적 명망과 규모가 더 큰 회사로의 이직'(14.5%), '인력 부족으로 인한 업무 과중'(14.5%), '성장가능성, 비전이 없어서'(11.6%) 등을 퇴사사유로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 이탈을 막기 위해 기업들은 '연봉, 성과금 인상'(44.3%, 복수응답)을 가장 우선적인 정책으로 꼽았다. '성과보상 체계 개편'(32.7%), '회사 비전 공유 및 소통 프로그램 확대'(25.9%),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조직으로 개편'(22.1%), 'HR 부서의 역할과 권한 강화'(10.7%) 등이 뒤를 이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