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칼럼 특별기고

[특별기고] 미래를 준비하는 청소년활동정책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2.06 18:00

수정 2022.02.06 18:00

[특별기고] 미래를 준비하는 청소년활동정책
지난해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에서 발표한 '청소년통계'에 따르면 친구관계, 사회에 대한 신뢰, 진로·취업에 대한 전망에서 청소년의 부정적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또 '청소년 방과후활동 수요 및 현황 조사'에서도 방과 후에 홀로 있으면서 영상미디어 시청이나 게임 등 정적인 활동으로 시간을 보내는 비율의 상승이 눈에 띈다.

새해를 맞이했지만 전 세계를 휩쓸고 있는 코로나19 기세는 여전하다. 코로나19는 우리의 일상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커다란 영향과 변화를 가져왔다. 코로나19 대유행은 대다수에게는 견디기 힘든 시련을 줬고, 이 시기에 가장 취약한 집단 중 하나인 청소년에게 미친 부정적 영향은 더욱더 크다.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역량을 키우기 위해 운영되는 공공시설의 반복적 운영제한은 코로나로 인해 갈 곳을 잃은 청소년에게도 힘든 상황이었다.
청소년 지도자들에게도 적잖은 당혹감과 위기감을 줬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 가운데에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온라인 활동 개발은 지속됐다. 청소년이 있는 곳에 찾아가는 서비스와 긴급돌봄 제공을 통해 기회 격차를 해소하고 취약계층을 보호하려는 현장 종사자의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는 코로나19 이후의 사회를 준비해야 하는 과제가 놓여 있다. 이를 위해 사회·경제적으로는 한국판 뉴딜을 중심으로 신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산업구조 개편이 진행되고 있다. 교육 분야는 미래형 교육과정(2022 개정교육과정)으로 개편을 통해 디지털 대전환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발맞춰 청소년 분야 역시 변화된 청소년의 생활여건을 반영하고, 코로나 대유행을 통해 드러난 문제들을 국가 청소년정책으로 만들어 미래사회에 대비해야 한다.

이제 청소년정책은 코로나 대유행이 가속한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 인구구조 변화, 인재상의 변화 등 '대전환 시대'를 대비하는 새로운 '미래 청소년활동정책'으로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

청소년정책의 주무부처인 여성가족부도 청소년이 주도하는 정책 추진을 위해 올해를 '청소년정책 전환의 해'로 선언하고, 청소년 및 전문가의 의견 수렴에 집중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향후 청소년정책기본계획의 실행력을 높이는 가칭 '청소년사업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대상·연령별로 보편적이고 구체적인 '청소년활동 프레임워크' 개발과 활용을 통해 청소년 누구나 일정 수준 이상의 서비스를 누리는 정책서비스 공공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런 정책구조를 만들어 참여·체험·학습이 유기적으로 연계되고, 대면·비대면이 유연한 형태로 연결되는 청소년정책의 질적 변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새롭게 그려가야 하는 '미래 청소년활동정책'을 위해 청소년, 정부, 전문가, 현장 간의 긴밀한 소통과 협력이 어느 때보다 절실한 시기다.

이광호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이사장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