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수·헤라 명품브랜드 실적 견인
면세 채널·해외시장서도 선전
면세 채널·해외시장서도 선전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지난해 5조3261억원의 매출과 356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9일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8.0%, 영업이익은 136.4% 증가했다.
온라인 매출 비중 증가 및 사업 체질 개선의 효과로 영업이익이 대폭 증가했다. 국내의 경우 온라인과 면세 채널이 전체 매출 성장세를 주도했고, 해외 시장에서는 럭셔리 브랜드 믹스 개선 및 매장 효율화로 인해 영업이익이 개선됐다. 화장품부문 매출은 4조9237억원으로 집계됐다.
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은 전년 대비 9.7% 증가한 4조 8631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40.1% 성장한 3434억원을 기록했다. 국내 시장에서는 온라인 매출이 약 40% 성장하고, 면세채널에서 선전하며 전체 매출이 증가했다. 채널 믹스 및 전통 채널 영업이익의 개선으로 인해 전체 영업이익이 156%나 높아졌다.
럭셔리 브랜드는 온라인 채널의 성장이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설화수 '자음생' 라인 및 헤라 '블랙쿠션' 리뉴얼 출시 등 핵심 카테고리 중심의 제품 경쟁력 강화에 힘을 쏟았다.
데일리뷰티 브랜드는 각 브랜드별 기능성 라인의 성장세가 돋보였다. 그러나 '려'의 글로벌 현지 사업 확대로 역직구 매출이 감소하며 전체 매출은 하락했다. 순수 국내 온라인 매출의 경우 두 자릿수 성장하는 성과도 거뒀다.
해외 시장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의 약진과 오프라인 매장의 효율화로 인해 영업이익이 190%나 성장하는 성과를 거뒀다. 북미와 유럽 시장에서도 브랜드와 채널을 다변화하며 눈에 띄는 매출 성장세를 나타냈다.
올해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위닝 투게더'의 경영 방침 아래 '강한 브랜드' '디지털 대전환' '사업 체질 혁신'의 3대 추진 전략을 실행럭 있다. 강한 브랜드의 완성을 위해서는 엔진 상품 육성, 시장분석 및 고객 대응 강화, 뉴 뷰티 비즈니스 확장 등을 시도한다.
디지털 대전환과 관련해서는 콘텐츠 역량 강화, 커뮤니티 팬덤 구축, 디지털 기반의 사업 모델 혁신을 진행한다. 사업체질 혁신을 목표로 공감 기반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강화, 수익성 중심의 체질 개선, 새로운 경영 체계 도입도 추진한다.
nvcess@fnnews.com 이정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