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기업 지방투자 기피...'인력이탈'이 가장 큰 이유

임광복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3.06 11:00

수정 2022.03.06 10:59

산업연구원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 보고서
"기업 투자시 인력양성 프로그램 개설해 연력 적기 공급해야"
지역별 청년층 인구 순 이동. 자료:산업연구원
지역별 청년층 인구 순 이동. 자료:산업연구원

[파이낸셜뉴스] 기업들이 지방투자시 근로자 이탈과 대체인력·지역내 고급인력 확보의 어려움을 첫손으로 꼽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미국처럼 기업 투자가 체결되는 시점에 맞춤형 인력 양성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설해 투자가 완료되는 시점에 양성된 맞춤형 인력을 공급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산업연구원(KIET)이 6일 발표한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한 산업인력정책 과제'보고서에 따르면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에도 수도권의 투자집중은 계속되고 있다. 이는 투자기업 요구에 맞는 맞춤형 인력이 수도권에선 적시에 공급되는데, 지방은 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기업들이 지방투자의 가장 큰 어려움은 근로자 이탈과 대체인력 확보(1순위 32.7%, 1+2순위 49.3%)로 분석됐다. 기업에 적합한 지역 내 고급인력의 부족(1순위 17.8%, 1+2순위 40.7%)도 세 번째로 응답했다.


반면 수도권은 지방에 비해 인력이 풍부해 인력 수급에 용이한 상황이다. 학령인구 감소에도 수도권 대학 입학자 비중은 2013년 42.0%에서 2020년 43.5%로 1.5%포인트 상승했다, 같은기간 대학원은 56.4%에서 57.6%로 1.3%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 졸업자 비중도 45.1%에서 46.2%로 1.1%포인트, 대학원은 56.6%에서 58.0%로 1.4%포인트 상승했다.

청년층도 수도권으로 집중되고 있다. 청년층(15~29세)의 수도권 순 이동은 2010년 5만8661명에서 2020년 8만9841명으로 증가했다.

하지만 비수도권은 모든 지역에서 청년층이 감소하고 있다. 특히 도(道) 지역을 중심으로 인구 유출이 가속화되는 상황이다. 지역별 65세 이상 고령화 인구 비중도 2010년 이후 모든 지역에서 증가하지만, 비수도권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연구원 김영민·최준석 박사는 "지역산업 발전 지방투자 활성화를 위해 원활한 맞춤형 인력 공급이 중요하다"며 "현재 실행 중인 산업인력정책은 고용안정과 직업전환 등 일반적 교육훈련에 중점을 두고 있어서 투자기업의 니즈 충족에 어려움이 있다"고 강조했다. 지방투자 기업의 인력 수급 불확실성은 지방투자 유치·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저해하고 지방의 인력 이탈을 가속화하는 악순환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맞춤형 인력공급시스템을 실행한 미국 조지아주의 '퀵 스타트(Quick Start)'사례를 제시했다. '퀵 스타트'는 투자가 체결되는 시점에 맞춤형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설해 투자가 완료되는 시점에 양성된 맞춤형 인력을 공급하는 구조다.
투자자는 지역 내 경제, 산업, 인력구조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 프로그램을 통해 인력 수급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 실제 기아자동차(2006년)와 SK이노베이션(2018년)은 조지아주 투자 결정 시 '퀵 스타트'를 통한 맞춤형 인력 공급을 주요한 결정요인 가운데 하나로 꼽았다.
맞춤형 인력 공급으로 생산공정 정상화를 약 6개월 단축할 수 있었다.

lkbms@fnnews.com 임광복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