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시대, 이건 꼭 하자 (1) 국민연금 바꾸자
대선 토론서 유일한 합의
일하는 정치 새모습 기대
대선 토론서 유일한 합의
일하는 정치 새모습 기대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10일 당선인으로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축하 전화를 걸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전화를 걸어 취임 후 백악관 방문을 초청했다. 윤 당선인은 5월 10일 취임일까지 꼭 두 달이 남았다. 정권 인수 기간은 집권 5년의 성패를 가를 만큼 중요하다.
우리는 인수위가 다뤄야 할 제1 과제로 국민연금 개혁을 제안한다. 지난 2월 초 대선 1차 TV토론에서 윤 당선인을 비롯해 4인 후보가 모두 개혁에 동의했다. 합의를 이끌어낸 안철수는 단일화를 선언한 뒤 윤 당선인 측에 합류했다. 당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도 공감한 만큼 국민연금 개혁은 여야 협치의 시금석이 될 수 있다.
국민연금을 왜 지금 서둘러 손봐야 하는가. 여러 이유가 있지만 딱 하나를 들자면 청년이 져야 할 짐을 덜기 위해서다. 지난해 7월 행정안전부는 연령대별 인구비율을 발표했다. 50대가 가장 많고, 40대에 이어 60대가 3위 그룹을 형성했다. 60대는 이미 국민연금을 타는 나이대다. 여기에 50대가 곧 가세한다. TV토론에서 안 후보는 "오는 2055년이 되면 국민연금이 고갈된다"며 "그다음부터 우리 아이들이 월급의 거의 3분의 1 정도를 국민연금을 위해 내야 한다"고 말했다. 일부에서 젊은층의 반란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윤 당선인이 배워야 할 모델이다. 노 전 대통령은 갖은 저항을 무릅쓰고 국민연금을 손봤다. 보험료율(9%)을 올리지 않았다는 점에서 반쪽 비판도 받지만, 소득대체율을 60%에서 40%(2028년)로 낮춘 것만도 대단하다. 그 덕에 연금 소진 시기는 13년 연장됐다.
문 대통령은 윤 당선인이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2018년 연금 전문가들은 보험료율을 대폭 인상하는 과감한 개혁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문 대통령은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다"며 퇴짜를 놓았다. 국민 눈높이에 맞는 연금 개혁안은 세상 어디에도 없다. 결국 보건복지부는 하나마나 한 개편안을 마련해 그해 국회에 법안을 제출하고는 손을 털었다. 국민연금 개혁은 손에 피를 묻히는 작업이다. 대통령은 뭉개고 정부는 나 몰라라 하는데 어느 정당, 어느 국회의원이 스스로 손에 피를 묻히겠는가. 개편안은 국회 창고에서 4년째 감감무소식이다.
국민연금 기금은 작년 말 기준 949조원이 쌓여 있다. 넉넉해 보이지만, 2년 전 국회예산정책처는 국민연금이 2040년 적자로 전환하고, 2054년엔 아예 기금 자체가 소진될 것으로 봤다. 세계 최저 출산율을 고려하면 소진 시기는 더 앞당겨질 수도 있다. 국민연금 시한폭탄이 재깍재깍 흐르는 중이다. 더불어 청년들의 분노 게이지도 치솟는다. 윤 당선인은 대선에서 젊은층의 도움을 받았다. 더 이상 뭉개선 안 된다. 윤 당선인의 결단을 촉구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