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건설업계 "건설자재 수급 불안 정부 대책 마련 시급"

뉴시스

입력 2022.03.28 10:01

수정 2022.03.28 10:01

기사내용 요약
자재가격 상승·수급불안…"국제적 현상으로 장기화 조짐"
공사 중단·수주포기…최악 사태 방지 위해 대책 마련 시급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서울 신길동 한 아파트 공사현장.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서울 신길동 한 아파트 공사현장.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 박성환 기자 = 건설업계가 최근 철근·레미콘·골재 등 주요 건설자재 수급 불안에 대한 정부의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정부에 제출했다.

대한건설협회(회장 김상수)는 최근 심화되고 있는 자재 수급 불안에 대한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해달라며 국무조정실과 국토교통부 등 정부 관계부처에 건의했다고 28일 밝혔다.

건협은 건의문에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촉발한 국제적인 자재·연료가격 급등과 수급차질로 인해 주요 건설자재 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있다"며 "이러한 자재가격 급상승과 수급불안의 여파가 고스란히 건설업계로 확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3월 현재 건설공사가 본격 시행되지 않는 상황임에도 특정 자재에 국한되지 않고 대부분의 건설자재 가격이 급등하는 등 자재수급 대란의 전조가 나타나고 있다"며 "이러한 상태로 4월 이후 건설 성수기에 접어들게 되면 건설업체는 신규수주를 포기하거나 공사를 중단해야 하는 등 최악의 사태로까지 확대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건협은 이번 주요 건설자재 수급 불안이 전 세계적인 현상으로, 그 여파가 얼마나 될지 가늠하기 힘들고, 조기 수습도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상수 회장은 "공사현장 중단으로 건설산업은 물론 관련 산업 전반에 발생할 피해를 사전에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 차원의 선제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며 "공공공사와 민간공사 모두 자재가격 상승분을 공사비에 반영하고 공사가 중단된 경우 공사기간을 연장토록 정부차원의 지침을 시달하고, 원자재 수급난의 충격 완화를 위해 부담금·부가세 등의 한시적 감면 등을 조속히 검토·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sky0322@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