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국내 소멸위험 지역 33곳→106곳 폭증…"일자리 만들어야 인구 유입"

홍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4.05 12:00

수정 2022.04.05 14:06

고용정보원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델' 보고서
지방소멸 위험지수 [표=고용정보원] /사진=fnDB
지방소멸 위험지수 [표=고용정보원] /사진=fnDB


[파이낸셜뉴스] 인구 유출에 따른 국내 지방소멸 위기가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인구 유입을 위해서는 지역 산업과 노동시장에 맞는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지역 일자리 사례와 모델'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주민등록 연앙인구 기준 소멸위험 시·군·구는 106곳으로 2015년 33곳에 비해 3배 넘게 증가했다. 4차 산업혁명과 인구감소, 제조업 쇠퇴에 따라 지역의 일자리가 감소하고 청년인구 유출이 가속화되고 있다.

보고서는 4가지 유형의 지역사례 연구를 통해 지방소멸의 위기를 기회로 전환시키기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주요 사례는 △러스트벨트형: 군산형 상생일자리 사례, △대학소멸위기형:광주/전남 및 경남의 지역혁신플랫폼, △원도심쇠퇴형: 부산 영도구 도시재생일자리, △풀뿌리공동체형: 경북 의성군 이웃사촌시범마을 등이다.


한신대 황규성 교수는 지역 주력산업 쇠퇴에 따른 일자리 위기와 지역경제 침체에 대응하기 위한 군산의 상생일자리 사례를 다뤘다.

전북 군산시는 GM 군산자동차 공장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에 따른 주력산업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기자동차 관련 중소기업 클러스터를 통해 새로운 청년일자리 창출을 시도했다.

군산형 상생일자리는 2024년까지 총 1624명의 고용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여러 가지 우여곡절에도 불구하고 2021년 11월까지 명신, 에디슨모터스, 코스텍 등의 기업에서 총 352명이 신규 채용되는 등 비교적 순항하고 있다.

고용정보원 서룡 연구위원은 교육과 일자리를 연계한 광주·전남과 경남의 지역혁신플랫폼 사례를 비교 분석했다.

지역혁신플랫폼이란, 지역대학들이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인재들에게는 양질의 일자리를, 지역중소기업에게는 R&D 협력을 통한 생산성 혁신과 양질의 인재를 공급하는 모델이다.

사회자본연구소 박선미 대표는 도시재생과 일자리를 연계한 부산 영도구의 사례를 다뤘다. 부산 영도구는 대도시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원도심쇠퇴와 청년인구 유출에 따라 ‘지방소멸위험’단계에 진입한 지역이다.

이에 따라, 부산 영도구는 대규모 개발과 인프라 위주의 전통적인 도시재생사업과 달리 지역주도로 도시재생과 일자리를 연계하고 주거복지를 개선하는 형태의 도시재생뉴딜 사업을 추진했다.

고용정보원 이상호 센터장은 한때 지방소멸위험지수 1위를 기록하기도 했던 경북 의성군의 ‘이웃사촌시범마을’ 사례를 분석했다. 이 사업은 ‘사라지는 농촌을 살아나는 농촌으로’만들기 위해 경상북도와 의성군이 함께 2018년부터 의성군 안계면 일대를 ‘이웃사촌시범마을’로 지정해 사업이 시작됐다.

핵심은 외부 청년 유입을 위해 일자리와 주거를 함께 제공하면서 마을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의료·교육·복지·문화를 함께 개선한다는 것이다.

일자리 창출, 주거단지 조성, 생활여건 개선, 마을공동체 강화, 청년 유입 등 5대 분야 40여개 사업을 진행한 결과, 사업이 시작된 후 2년 반 동안 총 162명의 청년인구가 유입(의성군 관외 유입참여자가 약 80%에 이른다)되는 성과를 거뒀다.


이상호 센터장은 정책적 대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자리 창출"이라며 "지역의 산업과 노동시장 환경에 맞는 일자리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지역의 주도성을 강화하는 한편 산업과 복지, 교육이 서로 연계된 일자리 전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