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학기술·중앙·건국대 등
교육부는 대학인권센터 안착을 위한 2022년 대학인권센터 선도 모델 개발 시범사업에 서울과학기술대 등 7개 학교가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지난해 3월 고등교육법 개정에 따라 모든 대학은 지난달 24일부터 의무적으로 인권센터를 설치해야 한다.
대학 인권센터는 성희롱·성폭력, 갑질 등 학내 인권침해 사건에 대한 조사와 상담, 조치, 교육 등을 담당하는 기구를 말한다.
교육부는 인권센터가 대학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총 5억원을 투입해 이 같은 시범사업을 추진했다.
시범사업은 세 유형으로 운영된다.
인권센터 운영선도 대학에는 서울과학기술대와 중앙대가 선정돼 대학 당 7000만원을 지원받게 됐다. 중앙대는 인공지능(AI) 기반 인권 상담·신고시스템 구축 사업을 통해 인권센터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을 좁힐 계획이다.
인권친화적 문화 조성 대학은 인권교육 콘텐츠 제작, 학교 구성원 인권교육, 피해자 회복 프로그램 제공 등을 추진한다. 이 유형에 선정된 가톨릭관동대·건국대·경북대·창원대는 대학 당 7750만원을 지원받는다. 이 가운데 가톨릭관동대는 인근 가톨릭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인권교육을 실시하는 등 지역사회와의 인권협력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인권네트워크 구축·활용 대학은 지역대학 인권센터, 지역인권사무소, 지자체 등 지역 내 인권기관과의 협력 체계 구축·활용을 선도한다. 선정된 충남대는 5000만원을 지원받아 지역사회와의 인권네트워크 구축 경험을 토대로 인근 대학, 인권 유관기관과의 연계활동을 추진한다.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