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과학

무인이동체 인재양성 위해 300억 투입

김만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4.14 12:00

수정 2022.04.14 12:00

과기정통부, 서울대 컨소시엄 선정해 2028년까지 사업 진행
드론. 게티이미지 제공
드론. 게티이미지 제공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도심 항공 교통(UAM)·드론 등 무인이동체 전문인력을 육성하기 위해 7년간 총 300억을 투입한다. 석박사 전문인력과 산업 현장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주관대학 등 13개 대학을 선정하고 무인이동체 시스템을 임무에 기반한 융복합 교육프로그램 개발키로 했다.

이 사업을 통해 국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우수인력을 공급하고, 무인이동체 관련 고급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켜 국내 무인이동체 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육해공 무인이동체 혁신인재양성 사업을 위해 서울대 컨소시엄을 선정했다고 14일 밝혔다. 또한 주관대학에는 서울대, 지역거점대학에는 충남대와 부산대, 참여대학에는 인하대 등 10곳과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이 참여하는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무인이동체 산업에 대응해 우리나라 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인력을 양성하는 등 산업생태계 구축이 필수"라며 이번 사업추진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번 사업의 특징은 기존 드론 요소기술 교육에 치우친 인력양성사업들과 달리 육해공 무인이동체 시스템을 임무에 기반한 설계와 제작, 실증을 통해 융복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운영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전문고등인력과 실무형 산업 현장인력을 양성한다.

우선 주관대학인 서울대는 이 사업을 총괄하면서 교육인프라를 개발·구축하고, 석박사 교육과정을 구성·운영한다.
또 지역거점대학은 주관대학과 함께 교육과정을 개발함은 물론,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을 대표해 석박사 교육과정을 설치·운영키로 했다. 이와함께 참여대학은 주관·거점대학과 연계해 석박사를 대상으로 인증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뿐만아니라 한국무인이동체연구조합이 산업체 보수교육을 위해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하고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한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