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성추행 의혹' 서울대 교수 늑장 징계 규탄…"학교 답변은 낙제점"

노유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03 19:22

수정 2022.05.03 19:22

1년9개월 지나도록 징계 안 한 사유 '비공개'
"징계 늦은 사유만 알려달라"
지난 3일 낮 12시30분께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성추행 의혹' 교수의 징계가 늦어진 데 대한 학교 측 답변서를 커다랗게 인쇄해 빨간펜으로 첨삭한 뒤 낙제점(F)을 줬다. /사진=서울대학교 공동행동 제공
지난 3일 낮 12시30분께 서울대학교 학생들이 '성추행 의혹' 교수의 징계가 늦어진 데 대한 학교 측 답변서를 커다랗게 인쇄해 빨간펜으로 첨삭한 뒤 낙제점(F)을 줬다. /사진=서울대학교 공동행동 제공
[파이낸셜뉴스] 서울대학교에서 '성추행 의혹' 교수를 1년 9개월여가 지나도록 징계하지 못한 사유에 대해 회피성 답변을 내놔 학생들이 반발했다.

지난 3일 낮 12시30분 권력형 성폭력·인권침해 문제 해결을 위한 서울대인 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과 서울대학교 총학생회는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아크로폴리스에서 '음대 A교수 관련 공문에 대한 학교 측 답변 규탄 및 파면 촉구 기자회견'을 개최했다.

이들은 학생을 강제 추행한 혐의를 받는 서울대 음악대학 교수 A모씨에 대해 학교 측이 징계를 의결하지 않았고 그 사유에 대해 설명을 회피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씨는 지난 2020년 8월 불구속기소 됐고 같은 달 서울대학교 교원 징계위원회(징계위)에 회부됐으나 이날까지 징계가 의결되지 않았다.


이에 2022 서울대학교 단과대학생회장 연석회의와 공동행동은 지난 3월 학교 총장실에 A씨의 즉각 파면과 징계 지연 사유에 대한 설명 및 소통을 위한 면담 요청 등의 요구를 담은 공문을 발송했다.

학교 측은 "심의·의결의 공정성 보장을 위해 징계위원회 회의를 비공개하고 있어 징계위 진행 상황과 지연 사유를 공개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이에 공동행동이 답변에 대한 반론을 담은 공문을 발송하고 면담을 요구했으나 학교의 추가 답변은 나오지 않았다.

이날 공동행동은 학교 측의 답변을 비판하면서 답변서를 빨간펜으로 첨삭하고 'F(재수강 필수)' 학점을 매기는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공동행동은 징계위 회의 내용 전부가 아니라 지연 사유에 대한 설명만 요청했다고 지적했다.
공동행동은 "학교는 학생 측이 징계위 참석자의 직무상 비밀이나 징계위 회의, 참석자, 발언 내용 전반을 공개하라고 요구하는 것처럼 곡해했다"며 "학교 측이 학생사회가 문제 삼는 '밀실 징계위'의 맥락을 왜곡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대는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대외적으로는 재판을 징계 지연 사유로 내세우고 있다"며 "'재판 결과와 관계없이 내릴 수 있는 징계 의결이 지연되는 이유'를 묻는 질문에 '비공개'라며 답을 회피하는 건 변명은 하되 소통은 하지 않겠다는 모순적인 태도"라고 비판했다.


공동행동은 학교 측에 징계위원회의 진행 상황과 지연 사유, A교수가 정년을 채워 징계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에 대한 대책을 요구하며 학생들의 반복적인 면담 요청에 응할 것을 강조했다.

yesyj@fnnews.com 노유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