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칼럼 사설

[fn사설] 광주 아이파크 전면 재시공은 올바른 선택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04 18:31

수정 2022.05.04 18:31

입주예정자 요구 수용
신뢰 회복하는 첫걸음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 회장이 4일 오전 서울 용산 사옥에서 광주 화정아이파크 정상화 방안 관련 추가 대책을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 회장이 4일 오전 서울 용산 사옥에서 광주 화정아이파크 정상화 방안 관련 추가 대책을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정몽규 HDC현대산업개발 회장이 지난 1월 붕괴참사를 빚은 광주 서구 화정아이파크 201동을 포함해 8개동 전체를 다 부수고 새로 짓겠다고 4일 발표했다. 정 회장은 이날 긴급 기자간담회에서 "사고 옆 건물 안전에 대한 우려도 많아 이를 해소하기 위해 완전한 철거와 재시공을 결정했다"고 말했다. 앞서 정 회장은 1월 기자회견에서 "사고가 발생한 201동만 전면 철거하고, 나머지 동은 정밀안전진단 후 안전에 문제가 있을 경우 철거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입주예정자들은 전면 재시공을 요구했고, 정 회장은 이를 수용했다.


회사 측은 추가 비용을 대략 3700억원으로 추정했다. 철거부터 준공까지 재시공은 70개월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원래 입주는 오는 11월 말 예정이었으나 6년 가까이 미뤄지게 생겼다. 입주자들은 별도의 주거지원을 요청했다. 회사 측은 적정액수를 추가비용에 포함시켰다며 추후 더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선량한 입주자가 본 피해는 제대로 보상하는 게 맞다.

광주 화정아이파크 사고는 공사 중 외벽이 무너져 근로자 6명이 숨진 후진국형 참사였다. 두번 다시 있어선 안될 예고된 인재다. 공사를 빨리 끝내 비용을 아끼겠다는 계산으로 설계를 무단으로 변경한 것이 지난 3월 국토교통부 조사 결과 확인됐다. 바닥의 강관 지지대는 콘크리트 가벽으로 대체됐고, 이 콘크리트 강도는 기준 미달이었다. 온통 부실과 불법투성이였다. 비슷한 공정으로 지었을 나머지 건물에 대한 불안감은 당연하다. 모든 수단을 동원해 사태를 수습하는 것은 현산의 책임일 수밖에 없다.

현산의 대형사고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6월 광주 학동 재개발공사장에서 건물 철거 중 사망사고가 났다. 그래서 사회적 분노가 더 컸다. 반복된 사고와 부실 대처에 건설업 퇴출 요구까지 나왔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는 최근 아이파크 사고 현장을 찾아 "이런 사고가 다시 일어난다면 기업은 망하게 해야 한다"는 말까지 했다.

현산은 부실공사 대가를 톡톡히 치르는 중이다. 서울시는 지난해 발생한 학동 사고 책임을 물어 8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내린 데 이어 올해 발생한 화정아이파크 사고에 대한 징계 절차도 따로 밟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등록말소라는 중징계를 서울시에 요청한 상태다. 현산은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소송에서 이겨도 소비자 신뢰 회복은 장담할 수 없다. 그 점에서 전면 재시공 결정은 불가피했다. 정 회장은 "고객에게 안전과 국민의 신뢰를 얻지 못한다면 회사의 존립가치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현산은 1976년 서울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건설에서 출발했다. 이후 반세기 동안 쌓은 주택명가 위상이 잇단 사고로 크게 흔들리고 있다.
이를 바로잡으려면 사즉생의 각오로 신뢰를 회복하는 게 급선무다. 현산은 전면 재시공 결정으로 그 첫발을 뗐다.
아이파크 사태는 건설업계는 물론 고객을 상대하는 모든 기업에 소비자 신뢰의 중요성을 새삼 일깨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