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수소에 50조 쏟아붓는 기업들… 설비 稅혜택 등 지원 절실 [수소경제 활성화 마중물]

김영권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09 18:15

수정 2022.05.09 18:15

법개정안 국회통과 눈앞
SK, 생태계 조성 18조 이상 투입
현대차는 밸류체인 구축에 박차
포스코·한화·효성도 대대적 투자
그레이 수소 등 과도기도 지원을
수소에 50조 쏟아붓는 기업들… 설비 稅혜택 등 지원 절실 [수소경제 활성화 마중물]
1년을 끌어오던 수소법 개정안이 국회 상임위원회 문턱을 넘으면서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마중물이 마련됐다는 평가다. 다만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수소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조속한 법 시행과 함께 규제완화, 인센티브 등 추가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기업 수소투자 본격화되나

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수소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거쳐 정식으로 시행되면 현대차, SK 등 국내 주요 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구축작업도 한층 가속도를 낼 전망이다.

지난해 9월 현대차, SK, 한화, 효성, 코오롱 등이 주축이 돼 출범한 수소협의체인 '코리아 H2 비즈니스 서밋'은 오는 2030년까지 수소경제 전 분야에 총 43조4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했다. 이후에도 다수의 기업들이 밝힌 수소투자 계획을 포함하면 50조원 내외 규모에 달한다.

하지만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계획을 세웠음에도 1년이 넘게 실제 투자는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수소투자에 대한 명확한 범위와 기준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산업계에서는 관련 내용을 담은 수소법 개정안의 조속한 처리를 요구해왔다.

재계 관계자는 "투자규모를 결정하고 재원마련도 확보했지만 그동안 명확한 기준이 없어 수소분야에 대한 투자에 나서지 못했다"면서 "수소법 개정안 시행이 기대되는 만큼 구체적인 투자계획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SK는 한국의 수소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2025년까지 국내 최대 규모인 18조5000억원을 투자한다. 수소사업 인프라 투자와 글로벌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수소의 생산·유통·소비에 이르는 밸류체인에서 세계 1위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현대자동차그룹은 수소 생산-저장-유통 밸류체인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제철 등이 수소 생산을, 현대글로비스가 운반과 유통을, 현대모비스가 수소연료전지를 개발하고 현대차와 기아가 수소차를 생산하는 것이다. 현대차그룹은 오는 2030년까지 수소차 관련 설비, 충전소 등 관련 인프라에 11조1000억원을 투입한다.

포스코그룹의 지주사인 포스코홀딩스는 10조원을 투자해 수소환원제철 기술을 개발하고 다양한 수소 프로젝트를 통해 50만t의 수소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한화그룹은 한화솔루션을 중심으로 그린수소 생산 등에 1조3000억원을 투자한다. 충남 대산에 세계 최초의 부생수소 발전소를 건설한 한화에너지, 한국가스공사에 수소 충전시스템을 공급하는 한화파워시스템 등과 함께 수소산업의 전 밸류체인에서 수익성을 극대화한다는 전략이다.

효성은 액화수소 플랜트 구축과 액화충전소 보급 등에 1조2000억원을 투입하고 탄소섬유, 수소충전소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조속한 법시행…추가 지원책 절실

산업계는 글로벌 탄소중립 트렌드에서 주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수소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조속한 법 시행이 선결과제라고 말한다. 이미 1년여가 경과된 상황에서 외국 기업과의 수소기술 관련 투자 및 국내설비 공급계획 등에서 더 이상 차질이 발생하면 안된다는 것이다.

여기에 수소경제가 제대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급격한 드라이브보다는 연착륙 방안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탄소가 발생하지 않는 블루수소로의 전환 과정에서 그레이수소, 블루수소 등 과도기적 수소에 대한 인센티브를 통해 자연스러운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신규사업 및 설비에 대한 세제혜택 등 지원책 마련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사실상 현시점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수소는 천연가스 등을 기반으로 개질을 해 오히려 탄소를 배출시키는 그레이수소가 될 수밖에 없다"면서 "하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 점차 기술을 개발하고 나중에는 블루수소까지 상용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하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