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기업·종목분석

원스토어·태림페이퍼도 상장 철회…올해만 벌써 6번째 IPO 포기

김민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11 16:58

수정 2022.05.11 16:58

[파이낸셜뉴스] SK쉴더스에 이어 원스토어, 태림페이퍼가 상장을 철회키로 하면서 올해 중도에 기업공개(IPO)를 중단한 기업은 6개로 늘어나게 됐다. 현대엔지니어링, 보로노이, 대명에너지에 이달 SK쉴더스, 태림페이퍼, 원스토어도 철수한 것이다. 올해 유가증권에서 기업공개(IPO)에 성공한 기업은 LG에너지솔루션, 코람코더원리츠 2개에 불과하다.

1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원스토어는 이날 주관사 등과 장시간 회의를 이어간 끝에 상장 처리 방침을 최종 확정했다. 이날 오전까지 원스토어는 공모가를 하향해 상장을 강행하려는 분위기가 감지됐으나 오후 들어 최종 결론은 상장 연기로 모아졌다.

원스토어는 9~10일 동안 기관 수요예측 일정을 진행했지만 흥행에 실패했다.
원스토어의 희망 공모가 밴드(3만4300~4만1700원)를 기준으로 한 공모예정 총액은 2284억~2777억원이다. 당초 기관 공모 규모가 2000억원 수준이라서 쉽게 채워질 것으로 예상됐지만 수요예측 기간에 국내 증시가 폭락하면서 투심에 악영향을 미쳤다. 기관 투자자가 제시한 가격도 밴드 하단 쪽에 몰렸다.

원스토어 측은 국내외 환경과 증시 불확실성으로 인해 상장을 철회한다는 입장이지만 SK쉴더스와 마찬가지로 고평가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최초 증권신고서에서는 비교기업으로 애플, 알파벳, 카카오 등을 제시했지만 고평가 논란이 일자 텐센트, 네이버, 카카오, 넥슨 등 4개사로 정정했다. 정정 후에도 공모밴드는 동일해 고평가 이슈를 털어내지 못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2019년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한 SKS PE, 키움캐피탈 측의 반발이 컸다. 공모가를 낮춰서 상장할 경우 이자 등을 고려했을 때 수익률이 크지 않아 강하게 반발한 것이 상장 철회의 주요 이유로 알려졌다.

SK그룹은 SK쉴더스에 이어 원스토어까지 상장을 철회한 만큼 향후 그룹 내 IPO가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11번가 등 상장을 준비하는 기업들의 벨류에이션도 다시금 평가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에서는 기존 몸값을 유지하기는 힘들 것으로 평가한다.

무엇보다 기자간담회에서 이재환 원스토어 대표가 "IPO를 철회하는 일은 없다"고 입장을 전달한 바 있는 만큼 신뢰도 면에서도 타격을 받게 됐다.

골판지 원지 생산업체 태림페이퍼도 이날 상장을 철회키로 했다. 태림페이퍼는 지난 9~10일 이틀간 기관투자자 대상으로 진행한 수요예측에서 저조한 참여율을 거두면서 상장을 철회키로 결정했다. 수요예측 결과 공모가 하단에서 가격이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태림페이퍼가 희망한 기업가치는 공모가 상단 기준 7000억원이다.

공모 과장에서 경쟁사인 골판지 원지 업체들의 주가수익비율(PER)이 4~6배 수준인데, 업계 1위인 태림페이퍼는 약 11.1배를 적용하면서 몸값이 다소 비쌌다는 평도 나왔다.

높은 구주 매출 물량도 발목을 잡았다. 태림페이퍼는 이번 공모에서 810만4000주를 모집하는데, 구주 매출 비율이 40%에 달했다. 구주 매출 대상은 세아상역이 보유한 태림페이퍼 지분이다.

IMM프라이빗에쿼티(IMM PE)는 지난 2019년 태림페이퍼 지분 100%를 국내 의류 제조업체인 세아상역에 매각한 바 있다. 연결실적을 기준으로 지난해 태림페이퍼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889억, 1172억원으로 전년에 비해 19.6%, 58.8% 증가했다.

한편 올해 상장을 철회한 곳은 현대엔지니어링, 보로노이, 대명에너지, SK쉴더스에 이어 태림페이퍼, 원스토어까지 총 6곳이다. 올해 들어 유가증권에서 상장에 성공한 곳은 LG에너지솔루션, 코람코더원리츠 2개 기업이며, 수요예측에 층행한 마스턴프리미어리츠가 상장을 앞두고 있다.


IB업계 관계자는 “코스닥 업체 중에서는 가온칩스 등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성공한 기업이 많은 반면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IPO 철회가 이어지는 것은 단순히 시장 문제 만은 아니다”라면서 “IPO 예정 기업들의 전반적인 벨류에이션 재평가와 ‘뻥튀기’ IPO에 대해 재검토해봐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