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시황·전망

[주간증시전망] 불확실성 속 변동성 장세 지속…저가 매수 전략은 유효

김민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15 14:16

수정 2022.05.15 14:16


주간 증시 주요 일정
날짜 이벤트
5월 16일 중국 4월 고정자산투자·산업생산·소매판매
17일 미국 4월 소매판매, 유로존 1·4분기 국내총생산(GDP)
18일 유럽 4월 소비자물가지수
20일 한국 4월 생산자 물가지수

[파이낸셜뉴스] 지난주 코스피가 반발매수세 유입으로 2600선을 가까스로 지켜냈지만 이번 주도 불확실성이 여전해 변동성 장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다만 미국 중앙은행(연준)의 긴축 강화, 중국의 도시 봉쇄 장기화, 가상자산 시장의 불확실성 등 하방 압력 속에서 국내 증시가 하방 지지선을 보인 만큼 과도한 급락은 없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는 2500~2650선이다.

■인플레이션 개선 지연 우려 이어질 듯
1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13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54.16p(2.12%) 상승한 2604.24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 한 주간 2644.51에서 시작해 전주부터 지속돼 온 하락세를 이어가며 12일에는 연중 최저치(2546.80)를 경신하기도 했다. 13일 나스닥 지수의 상승과 가상화폐 충격을 시장이 흡수하면서 반발매수 심리를 자극하자 2600선을 회복했지만 한 주간 40포인트 이상 떨어졌다.


이번 주도 미 국채 금리 상승 등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개선 지연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결국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 기조에 따라 코스피의 향방이 결정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4월 생산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11.0% 상승하며 예상치 10.7%를 웃돌았다”며 “물가의 정점 통과 신호가 일부 확인됐지만,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라고 말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준의 긴축 통화정책 완화, 중국의 코로나19 확산 진정, 러시아-우크라이나전쟁 일단락 등이 코스피 반등의 트리거”라며 “중국 코로나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은 전망이 어려운 영역인 만큼 미국 연준의 긴축이 핵심”이라고 전했다.

다만 그동안 하락으로 가격 메리트가 커진 점은 긍정적 요인이다. 성장주들의 가격 부담이 과거 대비 많이 줄어든 만큼 증시의 하방 경직성은 강화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김 연구원은 “코스피의 주가수익비율(PER)은 9.5배로 과거 장기평균치(10.1배)를 하회하고 있다”며 “관심 업종으로는 2차전지, 자동차, 에너지, 유통, 의류, 항공, 엔터 등이다”고 강조했다.

반등이 나타났지만 증권가에서는 적극적인 매수를 권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주가가 크게 하락한 만큼 일부 저가 매수 전략은 유효하다는 조언이다. 특히 매크로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국면임을 고려하면 실적 상승 가능성이 높은 성장주 위주로 매수할 것을 제안했다.

신승진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금이 있는 투자자라면 오히려 주식의 비중을 늘릴 시점”이라며 “원·달러 환율이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정점이었던 달러당 1285원까지 약세가 진행됐기에, 외국인 투자자 시각에서는 한국 증시가 싸다고 인식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물 경제 지표 주목해야
이번 주 주목해야 할 경제 일정으로는 △중국 4월 고정자산투자·산업생산·소매판매 △유로존 1·4분기 국내총생산(GDP) △미국 소매판매·산업생산 △유로존 4월 소비자물가 △미국 4월 컨퍼런스보드 경기선행지수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미국과 중국의 실물 경제 지표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인플레이션 완화 신호를 기대하는 것이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오는 17일(현지시간) 발표될 미국의 4월 소매판매가 높은 물가에 대한 우려 대비 소비 위축 강도가 크지 않다고 해석된다면 위축된 투자심리를 완화시키는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외 중국의 4월 산업생산과 소매판매도 오는 16일 발표될 예정이다.

추가적으로 글로벌 공급망 차질을 유발하고 있는 중국의 코로나19 봉쇄 상황도 주목해야 할 이슈로 꼽혔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매크로 불확실성 지속시 이익 훼손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미국 물가 지표가 발표됐고 러시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중국 내 봉쇄 상황 개선 여부가 주요 변수로 판단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