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1) 김민성 기자 =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이 세계 최대 액화천연가스(LNG) 생산국인 카타르로부터 24조원에 달하는 대형 발주 프로젝트를 첫 수주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에이치라인해운·팬오션·SK해운으로 구성된 한국컨소시엄으로부터 17만4000㎥(입방미터)급 대형 LNG운반선 4척을 수주했다고 7일 밝혔다. 계약금액은 1조734억원이다.
해당 선박들은 옥포조선소에서 건조한 뒤 2025년 1분기까지 선주 측에 인도될 예정이다. 카타르에너지의 노스필드 확장 프로젝트에 투입된다.
이날 현대중공업 그룹의 조선 부문 지주회사인 한국조선해양도 유럽 소재 선사로부터 LNG운반선 2척을 총 5375억원에 수주했다고 공시했다.
대우조선해양과 한국조선해양이 수주한 선사 소재지는 아프리카와 유럽으로 각각 다르지만, 해당 선박들은 모두 대규모 LNG선을 발주한 카타르발 물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카타르는 세계 최대 LNG 생산국으로서 연간 LNG 생산량을 7700만톤(t)에서 1억2600만톤으로 확대하는 증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 일환으로 카타르 국영 석유회사인 카타르페트롤리엄(QP)은 2020년 6월 대우조선해양을 포함한 국내 빅3 조선업체와 100척이 넘는 LNG선 건조 슬롯 계약을 체결했다. 슬롯 계약은 신조(새 선박)용 도크를 미리 선점하는 것을 뜻한다.
이번 계약은 선표 예약합의서에 따라 건조되는 첫 번째 선박들로, 앞으로 추가 수주도 이어질 전망이다.
업계 일각에선 우리나라 조선 빅3 업체가 2020년 카타르와 체결한 계약서에 원자잿값 상승 등을 고려한 선가 변동 조항이 제외된 탓에 당시 계약대로 수주할 경우 수천억원의 피해가 예상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최근 호황을 맞으며 신조선가 자체가 오른 데다 후판(두께 6㎜ 이상의 철판) 가격이 2020년 t당 67만원대에서 올해 120만원까지 치솟는 등 원재료 가격마저 뛰어 불황 당시의 선가로 계약한다면 국내 조선사의 실적이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조선업계는 해당 계약에 원자잿값 상승을 고려한 연동 조항이 삽입됐고, 같은 선박 여러 척을 수주하면 설계 한 번에 연속 건조가 가능해 수익성이 올라간다는 이유로 우려를 반박한 바 있다.
현재 공시된 계약액을 고려하면 이 같은 우려를 일정 부분 잠재울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이날 대우조선해양 수주분은 1척당 약 2억1448만달러, 한국조선해양 수주분은 척당 약 2억1480만달러다. 지난 3일 현대삼호중공업이 계약한 LNG운반선 수주가인 척당 2억3110만달러에 비해 7% 가량 낮지만 당시 가격인 1억8600만달러에 비해 15%가량 오른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카타르 프로젝트 관련) 최근의 저가수주 우려보다는 계약한 선가 수준이 높고 동일한 설계를 바탕으로 여러 선박을 건조했을 때 규모의 경제 효과도 있기 때문에 (저가 수주를)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