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AI정부는 국민의 비서 역할... 부처간 칸막이부터 없애야" [AI월드 2022]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6.08 18:27

수정 2022.06.08 18:27

정책 좌담회
국내외 AI관련 정부인사들
디지털정부 성공조건 논의
"국가 차원의 활용전략 필요
계층간 정보격차 해소 과제"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AI World 2022: Tech & Future' 행사에서 백은경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디지털사회혁신 PM(왼쪽)과 시그릿 지이트 에스토니아 경제통신부 PM, 청전즈 싱가포르 국가AI국 박사가 '디지털플랫폼 정부, AI 정부가 국민의 사랑받는 비서가 되려면?'이란 주제로 좌담을 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AI World 2022: Tech & Future' 행사에서 백은경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디지털사회혁신 PM(왼쪽)과 시그릿 지이트 에스토니아 경제통신부 PM, 청전즈 싱가포르 국가AI국 박사가 '디지털플랫폼 정부, AI 정부가 국민의 사랑받는 비서가 되려면?'이란 주제로 좌담을 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성공적인 AI 정부 구축을 위해서는 정부기관 사이에 칸막이를 허물고 사업별 협업이 가능하도록 혁신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싱가포르의 사례처럼 국가 차원의 AI 전략을 마련하고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국정운영을 도입하려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디지털 소외자들을 위한 디지털 포용 전략의 필요성도 강조됐다.

■AI 정부 성공의 조건은

고진 디지털플랫폼TF 팀장과 시그릿 지이트 에스토니아 경제통신부 프로젝트매니저(PM), 청전즈 싱가포르 국가AI국 박사는 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최, 정보통신기획평가원·대한전자공학회·파이낸셜뉴스 주관으로 열린 'AI World 2022: Tech & Future' 행사에서 '디지털플랫폼 정부, AI 정부가 국민의 사랑받는 비서가 되려면'을 주제로 정책좌담을 진행했다.


고 팀장은 부처 간 칸막이 제거를 디지털플랫폼 정부 성공의 조건으로 제시했다. 고 팀장은 "민간의 쿠팡, 마켓컬리, 네이버,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들은 한곳에서 내가 원하는 것을 알아서 추천해주고, 한번의 클릭으로 그것을 문앞까지 배달해준다"며 "하지만 정부 서비스는 부동산 거래를 한 번 하는데 3곳의 기관과 9개의 웹 사이트를 방문해야 하고, 온라인 결제만 4번 해야 할 정도로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 고 팀장은 "정부 각 부처가 인공지능과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플랫폼으로 '하나의 정부'로 구성돼야 하며 거기에 스타트업이나 개발자 은행 등 민간이 참여해 혁신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시그릿 지이트 PM은 에스토니아에도 유사한 부처 간 칸막이 문제가 있었다며 '엑스로드'라는 데이터 교환 레이어를 만들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했다고 제시했다. 그는 "훌륭한 아이디어가 있다고 하더라도 기존의 프로세스대로 업무를 한다면 국민들에게 제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일하는 방식, 프로세스를 바꿔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가 차원의 AI 전략 필요

청전즈 싱가포르 국가AI국 박사는 국가 차원의 AI 전략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청 박사는 "싱가포르에서는 AI를 국가 구축의 중요 단계로 보고 2019년 11월 관련 전략을 마련했다"며 "AI가 사회경제적 가치를 가져올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 자원을 투입했다"고 소개했다. 청 박사는 특히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내부 국정운영 개선 등에도 AI가 활용되고 있다고 밝혔다. 청 박사는 "공공부문 전반에 적용할 수 있는 AI 툴을 개발했다"며 "각 부문의 공무원들이 AI 솔루션을 도출, 이를 업무에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했다.

한국 역시 AI와 데이터 기반의 과학적 국정운영을 도입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 고 팀장은 "지금까지 관행과 경험에 의존한 행정을 해왔다면 앞으로는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국정관리 체계를 확립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조기경보와 정밀예측 등 최적의 의사결정을 지원해 나가는 디지털플랫폼 정부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디지털 소외 극복'은 과제

AI 정부 도입 과정에서 기존의 경제적 소외자들이 디지털 소외자로 전환되는 사례가 나오는 만큼 디지털 포용을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청 박사는 "싱가포르 정부도 디지털 격차의 문제를 눈여겨보고 있다"며 "사회의 다양한 계층이 디지털 전환을 잘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기업도 디지털 포용을 위해 좀 더 노력해줘야 한다"며 "기업도 이를 위해 더 많은 지원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시그릿 지이트 PM은 디지털 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해서는 AI에 대해 시민들이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사람들은 AI라고 하면 자기 일자리를 빼앗아 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며 "AI를 두려워하는 사람에게 AI 사용을 강요할 수 없는 만큼 더 많은 친숙한 사용 사례를 만들어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이설영 팀장 이보미 김만기 정영일 김준혁 김동찬 박문수 서지윤 이주미 임수빈 주원규 홍요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