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꿀벌 생태계보전 시급…정부, 484억 R&D 예산 투입

김규성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6.12 13:17

수정 2022.06.12 13:17

농진청 주축, 정부 부처 공동대응
꿀벌 생태계 파괴 문제 해결 목적
지난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서 한 양봉업자가 벌통에서 소비 한장을 꺼내 들고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해 4000여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다./사진=뉴스1
지난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서 한 양봉업자가 벌통에서 소비 한장을 꺼내 들고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해 4000여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다./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꿀벌 생태계 보전을 위해 8년간 484억원의 연구개발 예산을 투입한다. 지난 겨울 이상기후, 병해충 등으로 꿀벌 개체수가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12일 농촌진흥청은 산림청,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기상청 등 관계부처와 이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하는 '꿀벌 보호를 위한 밀원수종 개발 및 생태계 보전'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월동 봉군 폐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이상기상으로 분석되며 꿀벌의 주요 먹이원인 아까시나무의 분포면적이 최근 수십 년 동안 급감하면서 먹이원 공급에도 차질을 빚고 있는 상황이다.

이 같은 환경변화는 꿀벌의 활동을 어렵게 하고 있다. 또 벌꿀 생산 감소 및 꿀벌의 면역력 약화를 야기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꿀벌 생태계 파괴로 인한 피해와 경제적 손실이 점차 가중될 것으로 내다봤다.

이번 사업은 이상기상 등 다양한 환경변화에 따른 꿀벌 생태계 파괴 문제를 해결할 목적으로 마련됐다. 농진청은 꿀벌의 강건성 증진과 밀원 단지화 모델 개발, 생태계서비스 연구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기후변화에 적합한 밀원수 선발과 밀원 단지 조성 모델을 개발하고 산불 발생 지역을 비롯한 현장에 개발된 밀원 모델을 보급해 산림생태계를 회복하는 임무를 맡았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꿀벌 질병 진단과 제어기술 개발을 담당한다. 기상청은 기상 상황에 따른 밀원수의 개화 예측 모델을 개발해 양봉 농업인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환경부는 등검은말벌과 같은 외래해충 관리와 생태계서비스 평가 기술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연구개발을 1단계(기초 개발연구)와 2단계(현장 실증화)로 구분해 개발한 기술의 현장보급을 추진하게 된다.


농진청 연구정책국 방혜선 과장은 "생태계서비스의 취약성을 극복하고 양봉산업의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도록 유관 부처가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