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바이든, '인플레 대응' 위해 中 관세 인하 시사"

강규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6.15 09:00

수정 2022.06.15 14:53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메릴랜드 앤드루스공군기지에서 전용기에 탑승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AP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시간) 메릴랜드 앤드루스공군기지에서 전용기에 탑승하며 손을 흔들고 있다.AP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0여년만에 최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대응을 위해 중국에서 수입되는 소비재 등 일부 품목에 대한 고율 관세를 폐지하거나 인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악시오스는 14일(현지시간) 이번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 바이든 대통령이 지난 7일 핵심 각료들과 백악관 집무실에서 가진 회의에서 이전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 당시 중국 관세 리스트에서 일부 품목을 제외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보도했다.

매체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미 무역대표부(USTR)에 자전거 등과 같이 중국산 소비재 품목이 무역법 301조 관세 대상에서 제외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배제 프로세스'의 공식적인 절차를 진행할 것을 지시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의 결정은 빠르면 이달 내에 발표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철강이나 알루미늄 등은 관세 인하 대상에 포함될 가능성이 작은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임 시 중국의 통상 관행이 불공정하다는 이유 등을 들어 무역법 301조를 토대로 2200여개에 달하는 중국산 제품에 무더기로 고율의 관세를 부과했다가 2020년초 549개로 대상을 줄였다.

이후 바이든 행정부는 지난 3월 관세 적용을 받는 중국의 549개 품목 중 352개에 대해 관세 부과 예외를 한시적으로 허용했다. 그러나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지난 5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41년만에 최대폭인 8.6% 급등하는 등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면서 바이든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도 최저치로 떨어지자 인플레이션 대응 차원에서 중국산 품목에 대한 관세 인하 카드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한 고율 관세를 모두 인하할 경우 CPI가 0.26%p 낮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된 바 있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