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최고위 인선 갈등' 이준석·안철수…당헌당규 해석 두고 또다시 설전(종합)

뉴스1

입력 2022.06.19 18:44

수정 2022.06.19 18:44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오른쪽)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성남 분당갑 6·1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안철수 의원에게 꽃다발을 전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6.14/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오른쪽)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성남 분당갑 6·1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안철수 의원에게 꽃다발을 전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6.14/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노선웅 기자,한상희 기자 = 여당 최고위원회의 추가 인선과 관련해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와 안철수 의원이 19일 또다시 맞붙었다. 양측은 이날 서로 당헌·당규 해석을 달리하면서 상대를 공격했다.

포문은 안 의원이 먼저 열었다. 안 의원은 19일 오전 의원실 명의의 보도자료를 내고 합당에 따른 국민의당 몫 최고위원 2명 추천을 재고해달라는 이 대표의 요청에 "(국민의힘이) 국민 앞에서 합당 선언하며 합의된 내용과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안 의원은 지난 4월18일 국민의힘과 국민의당 합당 합의서를 첨부한 뒤 "국민의당은 합당 합의 내용에 따라 국민의당 추천 몫으로 최고위원 2인을 추천했다"며 "추천 명단에 대해 추후 심의 평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 측은 2020년 2월17일 1차 최고위에서 의결된 '최고위 구성에 관한 특례(해당 당헌 시행 이후 최초로 구성되는 최고위원회에는 당 대표가 최고위원회의의 합의를 거쳐 지명하는 최고위원을 4인까지 둘 수 있다)'를 소개하며 "지난해 4월8일 김종인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나고, 그해 6월 국민의힘 전당대회에서 이 대표가 선출돼 현재 최고위는 이 당헌 시행(2020년 2월17일) 이후 최초로 구성되는 최고위원회이므로 유효하다"는 취지로 설명했다.

이에 이 대표는 같은 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민의당 측 인사 중 현역 의원인 모(정점식) 의원이 지도부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당내 반대가 많아 명단에 대해서 심사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합당 협상 내내 명확하게 전달했다"며 "안 의원실 측에서 국민의힘 최고위원회의의 규정을 들어 4명까지 지명직 최고위원을 둘 수 있다는 부칙을 제시하는 것은 당규에 대한 기초적인 해석을 못 하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이 대표는 "2020년 2월17일의 부칙은 자유한국당-새로운보수당-전진당 등이 통합할 때 4명까지 최고위원을 추가로 늘려서 그때 김영환-이준석-김원성-원희룡 최고위원이 추가될 때의 이야기를 하는 것"이라며 "최초로 구성되는 최고위원회는 당시 합당을 통해 탄생한 미래통합당 새 지도부에 대한 이야기였다"고 부연했다.

그러자 안 의원 측은 이날 오후 또다시 보도자료를 내고 이 대표 주장을 재반박했다. 안 의원 측은 "합당 협상 과정에서 최고위원 추천 인사에 대해 심사할 수 있다는 점이 쟁점화되어 논의된 바 없다"며 "만일 심사 여부가 쟁점이었으면 이에 대해서 다른 공천 현안처럼 협상안에 기재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안 의원 측은 해석이 엇갈린 당규 부칙에 대해선 "현재 최고위 당규 부칙은 2020년 2월 17일 미래통합당 창당 시점에 규정한 것은 맞으나, 지도부 구성 배경을 살펴보면 전당대회 통한 구성이 아니었으므로 비대위 이후 전당대회를 통한 현 지도부 탄생이 진정한 최초 구성되는 최고위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안 의원 측은 "이 부분에 대한 다른 해석이 있을 수 있지만 최고위원 추천과 임명에 관한 합당 합의의 이행이라는 쟁점에서 벗어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지금은 사소한 논쟁보다 다가오는 세계적인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한 선도적인 대비를, 네 편 내 편 가르지 말고 모두의 힘을 모아 집중하는 것이 당이 해야 하는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안 의원은 최고위원 2명에 김윤 전 국민의당 서울시당 위원장과 국민의힘 정점식 의원을 추천한 바 있다. 이 대표는 애초 합당 취지와 맞지 않고, 최고위원 2명을 받게 되면 당헌·당규를 개정하는 등의 절차가 필요하다며 인준을 거부했다.
이에 권성동 원내대표가 안 의원에게 김 전 위원장 한 명만 최고위원으로 임명하는 중재안을 제시했지만 안 의원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