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이동환 “고양 님비시설을 핌피시설로 바꿔야”

강근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6.20 22:25

수정 2022.06.22 09:34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파이낸셜뉴스 고양=강근주 기자】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이 20일 주요 민원 현장인 난지물재생센터와 백석동 환경에너지시설에 들러 현장을 점검한 뒤 “앞으로 고양시는 님비(NIMBY) 시설이 핌피(PIMFY) 시설이 될 수 있도록 지원책을 강구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동환 당선인은 이날 고양에 소재한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을 방문해 현대화사업 추진 현황 등을 보고받고 하수처리장과 분뇨처리장을 각각 둘러봤다.

난지물재생센터 전체 부지는 920만㎡ 규모이며, 하수처리장(1일 86만톤)과 분뇨처리장(1일 4500㎘), 슬러지처리시설(1일 150톤 소각, 1일 150톤 건조) 등이 들어서 있다.

이들 시설은 지상에 건설돼 악취를 발생시켜 대덕동-덕은지구 등 인근 지역 주민은 그동안 민원을 지속 제기해왔다. 이에 따라 2012년 5월 고양시-서울시는 ‘상생발전 공동 합의문’을 체결하고, 현재 하수처리장 복개 공원화와 분뇨처리장 지하화를 위해 실시설계와 기본설계 용역을 착수했다.

분뇨처리장과 슬러지처리시설(증설) 지하화는 오는 2025년 준공 예정이며, 하수처리장 복개공원화 준공은 2028년으로 예정돼 있다.
난지물재생센터 내 서대문구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은 연면적 1624㎡에 1일 300톤을 퇴비화로 처리했으나, 고양시가 불가 의견을 표명해 2018년 12월부터 중지됐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이동환 고양특례시장 당선인 20일 난지물재생센터-환경에너지시설 현장점검. 사진제공=민선8기 고양특례시장직 인수위원회

서울시는 이에 따라 난지물재생센터 내 부지면적 3만7000㎡에 음식물처리시설 1일 300톤, 분뇨처리 1일 50톤을 처리한 뒤 바이오가스 1일 약 4만5000N㎥를 생산하는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을 지하화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대덕동 주민들은 지하화를 포함해 이들 시설 신설에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이동환 당선인은 “장기적으로 서울시 기피시설을 이전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단기적으로 지역주민 의견을 반영하면서 복개 공원화와 지하화 등 행정 절차와 기간을 단축하고 사업이 조속히 시행될 수 있도록 조치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동환 당선인은 이날 난지물재생센터 현장 방문에 이어 백석동 고양환경에너지시설도 들러 현장을 점검했다. 고양환경에너지시설은 연면적 1만2443㎡에 1일 300톤(150톤 2기)을 열분해와 가스화 용융방식으로 2010년 4월부터 고양도시관리공사가 위탁운영하고 있다.


다만 설계용량 300톤 대비 80%인 240톤 이하로 처리 중이며, 준공 이후 12년이 지나 핵심설비 노후화로 고장이 잦은 실정이다. 특히 주거밀집지역과 인접해 민원이 지속 발생하고 있다.


이동환 당선인은 이와 관련 “단기적으로 대기오염물질과 악취-소음 등을 줄일 방안을 강구하면서 중장기적으로 이전 등 최적의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