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중소기업

올 하반기 中企 경기전망지수 87.6…전년 동기 대비 4.0p 하락

장유하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7.05 12:00

수정 2022.07.05 12:00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파이낸셜뉴스] 올해 하반기 중소기업 경기전망지수가 전년동기대비 4.0p 하락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5일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2년 하반기 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하반기 경기전망지수(SBHI)는 87.6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동기 91.6 대비 4.0p 하락한 수치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에서는 △기타 운송장비(127.3) △가죽, 가방 및 신발(104.6) △인쇄 및 기록매체 복제업(100.0)이 호전을 예상한 반면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54.2) △섬유제품(54.2) △전기장비(68.2) 업종은 악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서비스업은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112.0) △운수업(100.0)이 업황개선을 전망한 반면 △부동산업 및 임대업(60.0) △도매 및 소매업(84.0) △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86.0)은 부진할 전망이다.

항목별 경기 체감실적 및 경기전망에 대해선 매출(84.1→91.2), 영업이익(81.2→87.7), 자금사정(81.4→88.9), 공장가동률(89.4→91.2) 모두 상반기에 비해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역계열인 인력·설비수준은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부족할 것으로 나타났다.


상반기 및 하반기 애로요인(복수응답)과 관련해선 중소기업들은 상반기 겪은 애로요인으로 원자재가격 상승(62.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내수부진(35.2%), 인력 수급난(29.8%), 금리상승(25.2%), 최저임금 상승(22.8%)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하반기 예상되는 애로요인으론 원자재가격 상승(58.8%), 내수부진(31.2%), 인력 수급난(29.8%), 금리상승(28.4%), 최저임금 상승(19.4%) 순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들은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으론 세금 및 각종 부담금 인하(61.4%), 금융지원(45.0%), 인력난 해소(34.6%), 원자재 수급 안정화(28.6%), 근로시간 유연화(20.0%) 순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만 잡히면 경기가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으나,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신3고’에 더해 글로벌 경기둔화 등 대내외 경제여건이 악화돼 중소기업 체감경기는 지난해보다 크게 나아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중소기업의 활력회복을 위해서는 정부가 보다 적극적으로 세제 개선, 금융지원 강화 등 경제활성화 조치와 더불어 과감한 규제개선으로 기업활동의 장애물을 걷어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