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빨간색 드레스코드에 작심발언..이양희, 윤리위 '중징계' 암시했었나

김준석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7.08 08:11

수정 2022.07.08 08:11

'국민의힘 당색' 빨간색 옷 입은 이양희 위원장
당초 예상 '경고' '당원권 정지 3개월' 처분 넘어선
'당원권 정지 6개월' 중징계 내려
국민의힘 이양희 중앙윤리위원장이 7일 오후 국회에서 이준석 대표의 ‘성상납 관련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한 징계 심의를 위해 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7.07. 사진=뉴시스화상
국민의힘 이양희 중앙윤리위원장이 7일 오후 국회에서 이준석 대표의 ‘성상납 관련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한 징계 심의를 위해 회의실로 향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2022.07.07. 사진=뉴시스화상
이양희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장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준석 대표의 성 상납 증거인멸교사 의혹 관련 징계를 논의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들어서며 입장을 말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7.7/뉴스1 /사진=뉴스1화상
이양희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회 위원장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이준석 대표의 성 상납 증거인멸교사 의혹 관련 징계를 논의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들어서며 입장을 말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2.7.7/뉴스1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요즘 너무 터무니없는 말들이 난무하고 있다.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에 의해 기획된 징계이다, 마녀사냥식 징계이다, 윤리위를 해체할 권한이 당대표에게 있다 등 이러한 발언들은 매우 부적절한 발언이라고 생각한다"(이양희 국민의힘 중앙윤리위원장)
국민의힘 당색인 붉은색 치마정장에 핑크색 마스크를 쓴 차림으로 눈길을 끈 이 위원장은 7일 오후 6시50분께 회의가 열리는 국회 본관 228호 앞에 모습을 드러냈다.
이어 결연한 표정으로 미리 써둔 입장문을 꺼내, 회의실 앞에서 대기하고 있던 기자들을 향해 읽으며 사실상 이준석 당 대표를 겨냥한 듯한 '작심발언'을 쏟아냈다. 이 위원장은 2011년 한나라당(현 국민의힘)의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에서 이 대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등과 함께 비대위원으로 활동했다. 이 대표도 지난해 10월 이 위원장에게 윤리위를 맡겼다. 이 대표는 자신이 임명한 이 위원장에 의해 당초 예상되던 '경고' 내지는 '당원권 정지 3개월' 안쪽의 처분을 넘어선 당원권 정지 6개월이라는 중징계를 받으며 정치 생명 최대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이 위원장은 8일 새벽 윤리위 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사실확인서의 증거 가치, 이 대표 본인 및 당 전체에 미칠 영향, 당 대표와 김철근 당대표 정무실장 간 업무상 지위관계, 사건의뢰인과 변호사 간 통상적 위임 관계, 소명 내용과 녹취록, 언론에 공개된 자료를 비롯해 김 실장이 본인의 일이 아님에도 7억원이라는 투자유치 약속 증서 작성을 단독으로 결정했다고 믿기 어려운 점을 고려해 이 대표의 소명을 믿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이 대표는 윤리규칙 제4조 품위유지 의무 위반를 위반했다"고 징계 이유를 밝혔다. 다만 이 위원장은 "징계심의 대상이 아닌 성상납 의혹에 대해선 판단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4월 21일 이 대표에 대한 징계 절차가 개시된 지 78일 만의 결정이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성 상납 증거인멸교사 의혹에 대한 윤리위원회에 출석하고 있다. (공동취재) © News1 이재명 기자 /사진=뉴스1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성 상납 증거인멸교사 의혹에 대한 윤리위원회에 출석하고 있다. (공동취재) © News1 이재명 기자 /사진=뉴스1
윤리위원회가 이 대표에게 당원권 6개월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린 배경을 두고 "내홍이 더 장기화 되면 윤석열 정부의 국정 운영 동력이 훼손될 수 있다"는 여권 내부의 우려가 작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당초 정치권에서는 '경고' 내지는 '당원권 정지 3개월' 안쪽의 처분이 예상됐지만 실제 징계 수위는 이를 능가했다. 이 때문에 이 대표에 대한 공세를 이른바 '윤핵관' 인사들이 주도하고, 윤리위 역시 집권 여당 당 대표에 대한 중징계라는 강수를 두면서 여권에서는 "결국 '윤심(尹心)'이 반영된 결과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이 대표 측은 아직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불복 의사를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성접대 사실이 없었다"며 "정황 만으로 내리는 어떠한 징계 처분도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 이 대표 측의 일관된 입장이다. 이 대표는 재심을 청구하거나 법원에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할 것으로 관측된다.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 이양희 교수가 25일(현지시간) 방글라데시 다카의 콕스 바자르에 있는 로힝야 난민 캠프를 방문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01.25. /사진=뉴시스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 이양희 교수가 25일(현지시간) 방글라데시 다카의 콕스 바자르에 있는 로힝야 난민 캠프를 방문한 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9.01.25. /사진=뉴시스
한편 이 위원장은 1970년 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과 함께 '40대 기수론'을 이끌었던 고 이철승 전 신민당 총재의 장녀다.
유엔 아동권리위원, 부위원장, 위원장을 지냈고 한국인 첫 유엔 인권특별보고관(미얀마)으로 활동하는 등 아동복지·인권 분야의 전문가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