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일반

체면 구긴 머스크..'비트코인' 투자손실 1억7000만 달러

송경재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7.26 04:05

수정 2022.07.26 15:05

2분기 중에 비트코인 9억3600만달러 어치 매각
[파이낸셜뉴스]
테슬라가 올 상반기 비트코인 가격 하락으로 인해 1억7000만달러(약 2330억원) 평가손실을 기록했다고 2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밝혔다. 로이터뉴스1
테슬라가 올 상반기 비트코인 가격 하락으로 인해 1억7000만달러(약 2330억원) 평가손실을 기록했다고 25일(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밝혔다. 로이터뉴스1

테슬라가 올 상반기 암호화폐 비트코인 가격 급락으로 회계상 1억7000만달러(약 2230억원)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테슬라는 25일(이하 현지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서 이같이 밝혔다.

■ 비트코인, 2230억원 평가손

테슬라는 앞서 20일 장 마감 뒤 분기 실적 발표에서 비트코인 일부를 매각해 현금으로 확보했다고 발표했지만 비트코인 투자로 얼마나 큰 평가손실을 기록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테슬라는 공시에서 비트코인 같은 디지털 자산이 회계규정에 따라 '무기한 무형자산'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회사가 보유한 암호화폐 가치 감소분을 회계에 반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보유 비트코인 가치가 오를 때는 매도하기 전까지는 회계에 포함되지 않지만 가치가 하락할 때에는 매도 전이라도 회계에 반영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20일 실적발표에서 보유중인 비트코인 가운데 2분기 중에 9억3600만달러어치를 매각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코로나19 봉쇄로 상하이 공장 가동이 중단된데 따른 현금 흐름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비트코인을 팔았다고 설명했다.

■ 비트코인, 매수 가능성 있어

공시에 따르면 테슬라는 보유 중이던 비트코인 15억달러어치의 약 75%를 매각해 6월말 현재 보유규모는 약 2억1800만달러 수준으로 줄었다. 테슬라는 지난해 1분기에 비트코인을 사들인 바 있다.

머스크는 애널리스트들과 실적 전화회의에서 그러나 비트코인을 매각하기는 했지만 앞으로 매수 가능성이 차단된 것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그는 "미래에 테슬라의 비트코인 보유 규모가 증가할 가능성은 분명하게 열려 있다"면서 이번 비트코인 매도를 비트코인의 미래는 끝났다는 식의 선언으로 평가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머스크는 현금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현금을 확보하기 위해 매각했을 뿐 비트코인에 대한 테슬라의 전망에는 변함이 없다는 점을 시사했다. 머스크는 비트코인 뿐만 아니라 도지코인 등 암호화폐 전도사 역할을 해왔다.

테슬라는 비트코인으로 자동차를 구입할 수 있게 허용하기도 했지만 곧바로 지난해 5월 이를 중단하기도 했다. 비트코인 채굴이 화석연료 사용을 증가시켜 기후위기를 악화시킨다는 우려를 이유로 댔다. 당시 머스크는 테슬라가 비트코인 결제를 중단했지만 보유 중인 비트코인을 매각할 계획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FILES) In this file photo taken on September 3, 2020 Tesla CEO Elon Musk talks to media as he arrives to visi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future US electric car giant Tesla, in Gruenheide near Berlin. - The court battle between Elon Musk and Twitter kicked off on July 19, 2022, as the social medi
(FILES) In this file photo taken on September 3, 2020 Tesla CEO Elon Musk talks to media as he arrives to visit the construction site of the future US electric car giant Tesla, in Gruenheide near Berlin. - The court battle between Elon Musk and Twitter kicked off on July 19, 2022, as the social media firm tries to force the entrepreneur to honor their $44 billion buyout deal. The first hearing will center on Twitter's push to set a trial date for as early as September in a case that has massive stakes for both parties. (Photo by Odd ANDERSEN / AFP)
■ 돈 먹는 하마 오스틴, 그륀하이데 공장

테슬라는 이날 공시에서 대규모 투자 계획도 공개했다. 올해와 내년, 2024년에 약 10억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올해를 포함해 2024년까지 매년 자본지출 규모가 60억~8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테슬라는 올해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과 독일 베를린 인근 그륀하이데 기가팩토리 가동을 시작했지만 아직은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다. 테슬라는 이들 2개 공장이 아직은 '돈 먹는 하마'라고 보고 있다. 머스크는 "돈을 태우는 거대한 용광로(gigantic money furnaces)"이라는 별명까지 지었다.

테슬라는 아울러 SEC로부터 머스크의 특정 트윗이 SEC와 합의한대로 회사측의 사전승인을 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를 제출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밝혔다.

SEC는 지난해 11월에도 테슬라에 비슷한 요청을 한 적이 있다.
SEC는 머스크가 2018년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인 사우디공공투자펀드(PIF)의 지원을 받아 테슬라 지분을 모두 인수한 뒤 상장폐지하겠다는 트윗으로 시장을 혼란에 빠뜨렸다며 소송을 냈고, 이후 합의를 통해 머스크가 회사 주요 사안과 관련한 트윗을 올릴 때는 사측의 사전승인을 받도록 한 바 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