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증권일반

소부장 강소기업 엔젯, 코스닥 노크... "초미세 잉크젯 프린팅 기술 독보적"

김민기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8.04 18:18

수정 2022.08.04 18:18

변도영 대표 "日업체 의존 벗어나
스마트폰·반도체 등에 두루 적용"
fnDB
fnDB
"엔젯이 개발한 국내의 독보적인 초미세 잉크젯 프린팅 기술은 이미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반도체, 바이오센서 산업에 모두 적용되고 있습니다."

초정밀 잉크젯 프린팅 부품 전문기업 엔젯이 코스닥 시장에 도전장을 내민다. 엔젯은 지난 2009년 설립돼 유도전기수력학(EHD) 잉크젯 프린팅 기술에 높은 전문성을 가진 기업이다. 지난 2019년 중소벤처기업부 소부장 강소기업 100에 선정된 바 있다.

변도영 엔젯 대표(사진)는 4일 파이낸셜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압력을 가해서 액을 짜내는 것을 디스펜싱이라고 한다"면서 "마치 튜브에 있는 꿀 같은 것을 짜서 빵에 바르는 것 같은 원리"라고 말했다. 디스펜싱과 관련된 글로벌 회사는 나스닥에 상장돼 있는 미국 노드슨, 산업용 잉크젯 노즐 만드는 일본의 후지필름, 코니카미놀타 등이 있다.
산업용 잉크젯 노즐의 약 글로벌 마켓 95% 일본회사다. 디스펜싱이나 잉크젯 기술의 경우 최근 디스플레이, 반도체 산업의 중요한 공정 기술로 적용되고 있다. 프린팅 기술이 새로운 공정 기술로 확대 적용될수록 일본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이런 상황에서 기술을 국산화하고 제품화에 성공한 곳이 엔젯이다. 2017년 삼성전자와 삼성전기가 휴대폰, 반도체 부문에서 엔젯 기술을 채택했다. 2018년엔 LG전자 디스플레이 부문도 엔젯 기술을 도입했다.

변 대표는 "엔젯의 잉크젯 기술은 후지필름 보다 젯팅(jetting)할 때 부피 기준 1000분의 1 작게 할 수 있다"면서 "경쟁사의 잉크젯 기술은 50마이크로미터(㎛)를 내뿜지만 엔젯은 EHD 잉크젯 기술로 1마이크로미터까지 가능해 보다 더 정밀하게 회로를 그리거나 기능성 코팅을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강화되는 만큼 엔젯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도 많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휴대폰의 경우 삼성디스플레이가 퀀텀닷 디스플레이에 잉크젯 프린트를 적용하고 있다. 변 대표는 "잉크젯 프린트 공정을 하면 프린팅 한번이면 끝나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원가 절감에 탁월하다"고 말했다.

엔젯의 잉크젯 프린트 기술은 과거 2000년대 초반 일본 산업기술총합연구원(AIST), 미국 일리노이 대학 등과 같이 연구됐다. 20년이 지나서 현재 양산에 성공한 것은 엔젯이 유일하다.

변 대표는 "양산 후 실제 산업에서 적용된 지 5년이 지났고 기존 디스펜싱이나 잉크젯 기술보다 획기적으로 성능이 높아서 시장에 빠르게 확대되고 있어 회사도 더욱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엔젯은 최근 바이오센서 회사에도 납품을 시작했다. 글로벌 AR디스플레이 회사와 협업도 진행 중이다.
향후 3D프린팅 시장에도 진출할 계획이다.

kmk@fnnews.com 김민기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