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이낸셜뉴스] 수영 강습 중 기존회원들이 신규회원을 괴롭히는 '텃세'가 도를 넘고 있다. 텃세 탓에 수영장을 옮기거나 다른 운동을 찾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서울 도봉구에서 수영장을 다니는 A씨는 최근 중급반에서 고급반으로 올라가며 황당한 일을 겪었다.
고급반 총무 B씨는 A씨 등 중급반에서 고급반으로 올라온 수강생들에게 "고급반에 승급했으면 여기 있는 구성원들에게 떡을 돌려야 한다"고 요구했다. 화가 난 승급 수강생들은 떡 돌리기를 거부하면서 수영장에 다녔다.
결국 승급한 수강생 대부분은 최근 수영장을 그만뒀다고 한다, 그러나 1년 수강권을 끊은 A씨는 어쩔 수 없이 20만원을 내고 떡을 돌렸다고 한다. 한 달 수강료보다 더 비싼 금액이다. A씨가 떡을 돌리자마자 거짓말처럼 그다음 날부터 수영장 텃세는 사라졌다
수영장 텃세 문제는 다른 수영장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송파구에서 수영장을 다니는 20대 직장인은 "같이 수업듣는 수강생 중에 한 명이 스승의날에 강제로 선물 사준다고 돈을 걷어갔다"며 "돈을 안 내겠다고 한 회원도 있었는데, 다른 회원들이 그 회원에게 왕따처럼 엄청 불쾌한 티를 냈다"고 전했다.
고급반의 경우 초·중급반과 달리 오래 다닌 회원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기존 회원들간 유대감이 남다르다는 점도 수영장 텃세의 한 이유로 꼽힌다.
수영장 측도 텃세 문제를 알고 있지만 해법을 못찾고 있다. 수영장 관계자는 "동네 수영장의 경우 입소문이 중요한데, 터줏대감들에게 '텃세 부리지 마세요'라고 말하면 쫙 다 빠져나갈 것"이라며 "그렇다고 신규 회원들이 불쾌해하는 부분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난감해 했다.
한편 수영장 텃세로 피해를 받았다면 수영장측에 정당한 사용료를 반환해달라고 요구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수영장 텃세를 방치해 폭행이나 협박이 이뤄질 경우엔 방조 범죄로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moon@fnnews.com 문영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