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레벨4 자율주행' 앞서가는 美·中, 뒤쳐지는 韓…"투자확대로 따라잡아야"

뉴스1

입력 2022.08.18 06:22

수정 2022.08.18 06:22

지난 4월 안철수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등 참석자들이 8일 경기도 화성 소재 현대자동차·기아 기술연구소 현대디자인동에서 아이오닉5 전기차 로보택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2022.4.8/뉴스1 ⓒ News1 인수위사진기자단
지난 4월 안철수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등 참석자들이 8일 경기도 화성 소재 현대자동차·기아 기술연구소 현대디자인동에서 아이오닉5 전기차 로보택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2022.4.8/뉴스1 ⓒ News1 인수위사진기자단


(서울=뉴스1) 이세현 기자 = 중국 빅테크기업 바이두가 우한·충칭 등에서 무인택시 운행 허가를 받으며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은 이미 자율주행 택시가 운행중이다.

반면 한국은 자율주행차 서비스의 시작조차 요원한 상황이다. 업계에서는 기술 선도국과 더 격차가 벌어지기 전에 법제도 정비와 투자 확대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8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바이두는 최근 우한과 충칭에서 운전자가 타지 않는 완전 자율주행 택시 운행 허가를 취득했다.



중국 당국의 허가로 바이두는 충칭과 우한에서 중국 최초로 무인택시를 운영할 수 있게 됐다. 바이두는 충칭과 우한 지역에서 모두 10대의 로봇 택시를 운영할 예정이다.

무인택시 운영이 이번이 최초는 아니다. 미국에서는 이미 알파벳(구글의 모회사)의 자회사인 웨이모와 제너널 모터스(GM)가 운전자가 없는 로봇 택시를 운영하고 있다.

GM은 지난 6월 캘리포니아주에서 무인 택시 사업 면허를 취득하고 무인 택시를 운행 중이다. 웨이모는 2020년 애리조나주에서 무인 차량을 이용한 배차 서비스를 시작한 후 이를 미국 전역으로 확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과 앱티브의 자율주행기술 합작사인 모셔널(motional)도 최근 미국 최대 차량 공유 서비스인 리프트와 라스베이거스에서 아이오닉5 기반의 자율주행 로보택시로 레벨4 자율주행 카헤일링 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정작 한국은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현재 국내 자율주행 시범 서비스는 14개 지역 일부 구간에서 한정된 차로 진행되고 있다.

시범서비스 차량을 1000대 이상 운영해 시범서비스 주행거리 합계가 2100만~3200만㎞에 달하는 미국과 중국과 달리, 우리나라의 시범주행거리 합계는 단 72만㎞밖에 되지 않는다. 자율주행 서비스 개발에 필요한 누적 데이터 확보량부터 차이가 나는 것이다.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 금액에서도 큰 차이가 났다. 미국 시장조사 업체 CB인사이트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과 중국의 자율주행차 업체들은 각각 70억달러(약 9조2000억원), 50억달러(약 6조6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2027년까지 정부 투자 1조1000억원, 2025년까지 현대차 등 기업 투자 1조6000억원 수준에 그쳤다.

업계에서는 자율주행차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부의 재정적, 정책적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임원택 에이스랩 대표는 지난 3월 자동차산업발전 포럼에서 "국내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다. 주요국과 비교시 투자금과 전문인력이 선도국 대비 절대적 열세에 있다"고 지적하면서 해외 주요 업체와 유사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이지 현대모비스 책임연구원도 최근 포럼에서 "우리나라가 자율주행차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투자와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 협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개인정보보호법의 신속한 개정도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영상 정보를 저장할 수 없는 현행법 하에서는 자율주행 기술에 필요한 데이터 축적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전송요구권과 자동화된 결정에 대한 거부 등이 포함된 개인정보보호법 전면 개정안은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KAIA) 회장은 "선도국가들과의 격차 축소를 위한 R&D 확대와 주행데이터 축적을 위한 규제완화나 제도정비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