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교육일반

2026년까지 5년간 '100만명 디지털 인재' 양성 추진

윤홍집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8.22 15:23

수정 2022.08.22 15:38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2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2026년까지 총 100만명의 디지털 인재를 양성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산업계 전문 인재부터 각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융합한 인재 양성 등 맞춤형 정책들이 추진될 계획이다. 다만 5년간 50만명을 실질적으로 추가 양성해낼 수 있을지, 과잉공급에 대한 우려는 여전하다.

5년간 디지털 분야 인재 수요는 73만8000명으로, 공급 규모 측면에서 이를 상당히 초과한 100만 명으로 잡았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2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마련한 이런 내용의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을 국무회의에서 보고하고 향후 5년간 이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디지털 분야의 인재양성 규모는 2021년 정부 재정사업 기준 약 9만 9000명이다. 향후 5년간 인재 수요는 약 73만 8000명으로 예상된다. 특히 사회 전 영역에 걸쳐 디지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어 그 수요는 더 커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의 추진 방향을 △100만 디지털 인재를 양성 △디지털 친숙도 제고와 역량 함양 △디지털 교육체제로 대전환으로 설정했다.

이 중 100만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주요 정책은 △고도화된 디지털 전문인재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인재 △일상에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인재 △교양 차원의 디지털 이해 제고 △디지털 배지 및 재능사다리 등 5가지다.

디지털 전문인재 양성을 위해선 지난달 발표된 '반도체 관련 인재양성 방안'에서 제시된 고등교육 규제개혁과제와 계약학과 관련 사항은 디지털 분야에도 적용하기로 했다. 첨단분야학과 신·증설 및 대학원 정원기준 유연화, 학·석·박사 통합과정 및 계약정원제 도입 등이 핵심 내용이다.

4단계 두뇌한국21(BK21) 사업을 통해 연구인력을 육성하고, AI·메타버스·사이버보안·빅데이터 등 디지털분야 대학원도 늘린다. 또 영재학교.과학고 대상 소프트웨어(SW)·인공지능(AI) 특화 교육과정을 영재학급도 확대 운영한다. 디지털 분야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마이스터고)도 확대하며 디지털분야 취업맞춤특기병을 확대해 병역 중 역량을 지속 개발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정부는 자신의 전공 분야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는 것을 돕기 위해 대학과 민간이 연계한 집중연계 교육과정(부트캠프)도 내년에 도입한다. 첨단분야 취업을 원하는 대학생이 1학년에는 진로탐색, 2∼3학년에는 연계기업 맞춤형 교육과정을 거치고 4학년에 부트캠프 과정을 수료한 뒤 취업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기업이 주도가 되는 다양한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고, 자체 디지털 교육과정 운영 기업을 ‘디지털 선도 클럽’으로 인증해 혜택을 부여한다.

디지털교육 저번 확대를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초등학교 정보선택 과목 도입과 소프트웨어·인공지능 융합교육 활성화를 통해 보편적 공교육 내에서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공지능(AI) 융합교육 중심고와 방학 중 디지털 캠프 지원, 온라인고교 등을 통한 공동교육과정 지원으로 지역과 학교의 범위를 넘어 학생들에게 디지털 교육기회를 다각도로 확대할 계획이다.

2024년부터는 3년 주기로 성인 디지털역량 진단조사를 실시하고, 농어촌 초등학교 1809곳에 '디지털 튜터'를 배치한다.


장상윤 교육부차관은 “전 사회 분야에서 활약할 다양한 인재들이 디지털 전문성을 갖추도록 지원하기 위해 대학, 기업, 민간이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함께 행·재정적 지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banaffle@fnnews.com 윤홍집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