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뉴시스]유재형 기자 = 울산시는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한 메탈쓰리디(대표 여환철)가 세계 최초로 3D프린팅 기술을 사용해 프리챔버(pre-chamber) 양산에 들어간다고 26일 밝혔다.
프리챔버는 대형선박용 엔진의 연소실 핵심 부품이다.
그동안 독일에서 전량 수입하던 선박 엔진의 핵심부품으로, 현대중공업 엔진연구소와 메탈쓰리디가 4년간 공동 개발한 끝에 덴마크 승인기관의 최종 승인(FTA)을 받았다.
이 기술로 메탈쓰리디는 현대중공업과 연간 20억원의 프리챔버 납품 계약을 맺었다.
금속 3D프린터로 제작한 시제품들이 여러 산업 분야에 적용되고 있지만, 이처럼 선박용 엔진 부품을 제작해 납품하는 사례는 국내외를 통틀어 최초이다.
국내에서 3D프린터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되면서 수입에 따른 부품 수급 불안정을 해소하고, 납품 기간을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시켜 업무 효율과 생산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3D프린팅 제품 양산화의 성공 사례가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을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 3D프린팅 벤처집적 지식산업센터’에는 현재 21개 기업이 입주해 3D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산업용 핵심부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00@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