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광역버스 입석해소’ 경기도-대광위-서울시 맞손

강근주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06 08:19

수정 2022.09.06 08:19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사진제공=경기북부청
경기도청 북부청사 전경. 사진제공=경기북부청

【파이낸셜뉴스 의정부=강근주 기자】 경기도-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서울시는 서울로 진입하는 경기 버스 증차에 합의하고 ‘광역버스 입석문제 해소 2차 대책’을 수립했다.

6일 경기도에 따르면, 이번 대책은 전세버스 투입, 정규버스 증차 등을 통해 올 연말까지 평일 출퇴근 시간대 광역버스 운행 횟수를 총 195회 더 늘리게 된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수원 7770번 등 54개 노선에 전세버스를 투입해 운행 횟수를 89회 늘리기로 했다. 또한 고양 M7731번 등 33개 노선에는 정규버스 53대를 증차해 운행 횟수를 106회 추가할 방침이다.

그동안 경기도는 입석문제 해소를 위해 2층버스 도입, 전세버스 투입, 준공영제 도입 등을 추진해 2019년 9%대였던 입석률을 올해 6월 4.8%까지 낮췄다. 다만 올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유가 상승으로 버스 이용객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며 입석률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따라 경기도와 대광위는 올해 7월 42개 광역버스 노선 출퇴근 시간대 운행 횟수를 221회 더 늘리고, 2층 전기버스 26대를 추가 도입하는 내용으로 ‘입석문제 해소 1차 대책’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2차 대책은 버스 인가 대수를 초과하는 계획으로 서울시 동의가 꼭 필요한 사안이다. 이에 경기도는 대광위-서울시와 여러 차례 협의 끝에 입석문제 해소 필요성의 공감대를 만들며 이런 결과를 만들게 됐다.

특히 경기도는 광역버스 증차 외에도 1차 대책에서 발표했던 2층 전기버스 26대 도입을 연내 완료하고, 내년 상반기 20대를 추가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2층 전기버스는 좌석 수가 70석으로 일반버스 좌석 수 45석보다 25석이 많아 수송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밖에도 버스 만석으로 정류소에서 탑승하지 못하는 이용객을 배려해 정류장과 정류장 사이에 중간 지점에 추가 배차하는 ‘중간 배차’ 시스템을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다.
그러난 이는 관련 지침개정 등 행정절차 이행이 필요해 오는 9월 말부터 입석이 만성적으로 발생하는 노선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1차 대책과 2차 대책이 안정적으로 시행되면, 출퇴근 시간대 입석 승객 수를 현재 6300명에서 올해 말 1600명으로 75%(4700명)가량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박노극 경기도 교통국장은 “이번 대책은 정부와 수도권 지자체가 광역버스의 입석문제에 공감해 공동 추진하게 됐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며 “대책 발표 이후에도 대광위와 입석문제에 관해 긴밀하게 협의하고 모니터링하면서 도민의 교통 안전-편의를 꼼꼼히 챙기겠다”고 강조했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