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바늘구멍 뚫어봐야 알바보다 못벌어" 공시생 넷 중 하나 짐싼다 [현장르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07 05:00

수정 2022.09.07 05:00

노량진 학원가
하위직 '박봉'에 철밥통 옛말
대형 학원도 "수강생 절반 줄어"
5월 기준 준비생 6만8천명 감소
지난 3일 오후 대표적인 공시생들의 '성지'인 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 인근의 한 서점을 찾았지만 손님이 거의 눈에 띄지 않은 채 한산한 모습이다. 사진=노유정 기자
지난 3일 오후 대표적인 공시생들의 '성지'인 서울 동작구 노량진 학원가 인근의 한 서점을 찾았지만 손님이 거의 눈에 띄지 않은 채 한산한 모습이다. 사진=노유정 기자
안정된 근로여건과 임금, 대외적 이미지 등으로 영원할 것 같았던 공무원의 '철밥통' 매력이 점점 사그라들고 있는 걸까.

최근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 공무원 직종의 인기가 급속도로 식고 있는 양상이다. 가장 큰 이유는 하위직 공무원 월급이 최저임금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얘기가 나오면서다. 실제 최근 '공무원 시험 준비생(공시생)'들 사이에서 엑소더스(대탈출)가 벌어지고 있다. 다만 상당수 공시생은 여전히 "다른 선택지가 없다"며 시험 준비에 여념이 없었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청년층 취업준비자는 70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15만4000명이 감소했다. 특히 일반직 공무원 준비생(21만명)의 경우 전년동월과 비교해 6만8000명이 줄어 가장 큰 감소를 보였다.

■학원가 "수강생 절반 이상 줄어"

기자가 이날 찾은 서울 동작구 노량진역 인근 학원가의 경우 공시생 감소의 여파를 확연하게 느낄 수 있었다.

대형 A학원은 최근 2년 새 수강생이 절반 이상 줄었다. 식사시간이면 공시생들이 줄지어 기다릴 만큼 문전성시를 이루던 유명한 인근의 뷔페식당은 오후 6시가 돼도 빈자리가 많았다. 인근 서점 역시 평소에 비해 찾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서점에서 8년간 일했다는 조모씨(55)는 "한때 사람이 많으면 하루 30명도 오는 곳인데 작년부터 급격히 준 게 느껴진다"며 "요즘은 하루 10~15명 찾아오는 게 전부"라고 전했다.

공무원 직종이 외면받기 시작한 건 결국 '월급' 때문이다.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에 따르면 4급(서기관) 이상 공무원 보수는 동결되고, 5급 이하는 1.7% 인상에 그쳤다. 올해 9급 1호봉 공무원 월급은 세금과 연금 보험료 등을 떼고나면 기껏해야 160만원 정도다.

올해 최저시급 9160원을 받으며 주휴수당 포함해 한 달에 209시간을 일한다고 가정할 때 받을 수 있는 월급(191만4440원)에도 못 미친다는 것이다.

■일부 공시생 "다른 선택지 없어"

이처럼 과거 화려한 선호직종으로 각광을 받았던 공무원이 박봉 탓에 인기가 시들해지면서도 일부 공시생은 여전히 "다른 선택지가 없다"는 입장이다.

B대학 관광학과를 졸업한 이모씨(23)는 코로나19 이후 진로를 바꿨다. 전공을 살려 취업을 준비하던 관광업계가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직격탄을 맞아서다.
대학교 4학년 때 진로 변경을 결심한 이씨는 "선택을 후회할 여유조차 없었다. 월급이 적다고 해도 진로를 다시 돌릴 생각도 못했다"고 했다.
C대학 경찰행정학과에 다니다가 휴학 중인 김모씨(23)는 "처음부터 경찰공무원을 생각해서 학과에 지원했고 배운 게 이것뿐이라 다른 길이 없었다"고 말했다.

yesyj@fnnews.com 노유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