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태풍 힌남노] 한반도 스치듯 빠르게 지나가..역대급 위력에도 최악 면했다

박상훈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07 07:19

수정 2022.09.07 07:19

4일 오전 서울 기상청 정책브리핑실에서 이광연 예보분석관이 태풍 예상 경로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기상청 제공
4일 오전 서울 기상청 정책브리핑실에서 이광연 예보분석관이 태풍 예상 경로에 대해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기상청 제공
[파이낸셜뉴스]
“이번 태풍, 정말 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디 안전한 곳에 머무르시길 부탁드립니다.”
이광연 기상청 예보분석관이 지난 4일 오전 제11호 태풍 ‘힌남노(HINNAMNOR)’의 예상 경로를 발표하는 브리핑 이후 했던 발언이다. 기상청도 분석관도 “정말 강할 것”이라고 예측했던 ‘역대급 태풍’ 힌남노는 6일 오전 4시 50분께 경남 거제를 시작으로 한반도에 상륙해 2시간 20분가량 한반도를 강타한 뒤 오전 7시 10분 울산 앞바다로 빠져나갔다.


태풍 '힌남노' 북상에 분주한 해수부 (세종=연합뉴스) 2022.9.4
태풍 '힌남노' 북상에 분주한 해수부 (세종=연합뉴스) 2022.9.4
이날 태풍의 상륙과 함께 영남 지역에는 강한 바람과 함께 물폭탄이 쏟아졌지만, 태풍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수도권은 비가 그치고 하늘이 개는 등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지역에 따라 체감하는 태풍 힌남노의 파괴력은 천차만별이었다.

힌남노는 상륙 당시 태풍의 ‘최저해면기압’을 기준으로 사라, 매미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강력한 태풍이었다. 최저해면기압은 해수면 높이에서 측정한 태풍의 중심기압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태풍의 강도가 강하다는 의미이다. 태풍의 중심기압이 낮으면 그만큼 주변 공기를 빨아들이는 힘이 강하기 때문이다.

힌남노의 최저해면기압은 부산 오륙도에서 6일 오전 5시 53분 관측한 955.9hPa이다. 역대 1위인 1959년 제14호 태풍 ‘사라’(951.5hPa), 2위 2003년 제14호 태풍 ‘매미’(954.0hPa)에 이어 세 번째로 낮았다.

11호 태풍 '힌남노'가 북상하며 전국이 영향권에 들기 시작한 5일 오후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2022.9.5/뉴스1 ⓒ 사진=뉴스1
11호 태풍 '힌남노'가 북상하며 전국이 영향권에 들기 시작한 5일 오후 서울 강남역 인근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2022.9.5/뉴스1 ⓒ 사진=뉴스1
힌남노는 상륙 당시 강풍 반경이 400㎞에 이를 정도로 세력이 큰 데다가 풍부한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과거의 태풍보다 많은 비를 전국 곳곳에 뿌렸다. 4일부터 6일 정오까지 제주 윗세오름은 954㎜, 포항 393㎜, 울산(매곡) 334㎜, 지리산 333.5㎜ 등 남부 지방은 300~400㎜에 이르는 누적 강수량을 기록했다. 특히, 포항에는 시간당 110㎜가 넘는 기록적인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침수 등 큰 피해가 발생했다.

태풍에서 멀리 떨어진 서울 등 수도권에도 힌남노가 공급한 수증기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렸고, 서울 강남은 251㎜의 누적 강수량을 기록했다.

다만, 바람은 태풍의 강도에 비해 역대 태풍보다 순위가 낮았다. 일 최대풍속은 제주 고산에서 기록한 초속 37.3m로 1위 매미(초속 51.1m), 2위 차바(초속 49m), 3위 쁘라삐룬(초속 47.4m) 등에 미치지 못하는 역대 8위를 기록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역대급 태풍’에도 최악을 면할 수 있었을까?
지난달 31일 오전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인이 촬영한 힌남노. [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earthobservatory) 홈페이지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달 31일 오전 국제우주정거장(ISS) 우주인이 촬영한 힌남노. [미국 항공우주국(NASA) 지구관측소(earthobservatory) 홈페이지 갈무리. 재판매 및 DB 금지]
전문가들은 부산과 울산 등 대도시들이 태풍의 위험반원인 오른쪽이 아닌 왼쪽에 놓여서 그나마 바람 피해를 줄였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힌남노는 상륙 이후 내륙을 관통한 매미와 달리 남해안 지역을 스치듯이 지나갔다.


문일주 제주대 태풍연구센터장은 중앙일보에 “태풍의 오른쪽은 바람과 진행 방향이 같지만, 왼쪽은 태풍의 진행 방향과 바람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이동 속도만큼 풍속이 떨어진다”며 “태풍이 편서풍을 타고 우측으로 빨리 이동하면서 다행히 최악의 상황은 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sanghoon3197@fnnews.com 박상훈 수습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