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추석 앞두고 물갈이한 대통령실, '능률·적재적소' 따졌다

서영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9.08 05:00

수정 2022.09.08 05:00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에 조규홍 제1차관을 내정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신임 보건복지부 장관에 조규홍 제1차관을 내정했다고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추석 연휴를 이틀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 취임 후 첫 대통령실 개편이 마무리됐다. 조직개편과 인사개편을 동시에 진행해 능률과 효율성을 더욱 높이는데 방점을 찍었다. 특히 인사개편을 통해 비서관급 중폭 교체, 행정관급 실무진 50여명 물갈이 등 당초 예상보다 대대적으로 이뤄졌다.

낮은 국정지지율과 이준석 전 대표 가처분 신청 파동 등으로 인해 집권 여당의 자중지란이 계속되면서 분위기 쇄신을 하려면 소폭이나 중폭 정도의 개편이나 쇄신으로는 미흡하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비서관 중폭 교체·행정관 50여명 퇴출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은 7일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 비서실 조직개편이 있었다"며 "인사도 좀 있었다"고 말했다.

조직개편을 통해서는 시민사회수석실에 있던 디지털소통비서관을 홍보수석실로 이관하고, 종교다문화비서관실을 사회공감비서관실로 변경하기로 했다. 아울러 홍보수석실에 해외홍보비서관을 신설하고 외신비서관을 겸직하도록 했다. 이 자리에는 강인선 대변인이 옮겼다.

이에 따라 대변인은 공석으로, 이재명·천효정 부대변인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천 부대변인은 그동안 홍보기획비서관실 선임행정관으로 일해 왔다. 신임 대변인 인선을 열려 있는 상황이다.

공석이었던 정무1·2비서관에는 전희경 전 의원과 장경상 국가경영연구원 사무국장이 임명됐다. 국민제안비서관에는 정용욱 국무총리실 민정민원비서관이 임명됐다. 시민소통비서관과 사회공감비서관은 기존 비서관실 선임행정관이 직무대리로 임명됐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인적쇄신은 대통령께서도 말하셨지만 정치적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고 어떻게 하면 조금 더 능률적이고 효율적으로 움직여서 국민에게 최선의 공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냐에 포인트를 뒀다"고 설명했다.

이와 별도로 50여명에 이르는 행정관급 이하 실무진 개편도 진행되고 있다. 의원면직 형식으로 대통령실을 떠나도록 했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윤 대통령 취임 100일을 지나면서 (대통령실 직원들에게) 업무기술서를 다 받아봤고 조직 진단을 했다"며 "근무기강이라든지 본인이 과연 적재적소에 있는지를 다 봤다"고 말했다.

"기회 드릴 수 있지만 보장 해줄 수 없다"

이번 개편은 집권 초기 인사 난맥상을 해소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대통령실 고위관계자는 "인사의 난맥상이 당연히 있을 수 있다"며 "처음엔 누가 누군지도 모르고 어느 정도 규모로 어떻게 운영해야 할지도 모르고 사람들이 막 들어오게 돼 있다"고 밝혔다.

특히 윤 대통령이 대통령실의 근무 기준을 유능하고 정무적 판단을 제대로 내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방점을 찍은 만큼 대통령실 인적쇄신도 바로 이 부분에 초점을 맞춰 진행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관계자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참모들에게 '기회는 드릴 수 있지만, 보장은 해줄 수 없다'고 한 말을 인용하며 "처음에는 어느 정권이든 겪는 진통이라고 좀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했다.

대통령실은 앞으로도 국정 수행 능력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개편 변수가 발생할 경우 수시로 조직 및 인적쇄신을 단행한다는 복안이라는 후문이다.


한 정치평론가는 "집권 초반 낮은 국정지지율을 회복할 수 있는 모멘텀을 확보하고, 작지만 강한 정부를 표방하는 새 정부의 국정 철학이 담긴 각종 국정과제에 강공 드라이브를 걸기 위한 사전 조치로 보면 된다"고 평가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fnSurvey